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성균관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60644 
법적 주체로서 자율적 인공지능 로봇 I : 의의와 관점 

= Autonomous AI Robots as Legal Subjects I: The Significance and Perspectives

  • 저자[authors] 김건우(Kim, Gun O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성균관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0No.2[2018]
  • 발행처[publisher]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5-238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초록[abstracts] 
[본고의 주제는 고도로 자율화된 인공지능 로봇이 법적 주체성이나 지위를 가질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필자는 이 문제와 관련해 유력하게 고려해 볼 만한 관점으로 다음 세 가지를 소개한다. 첫째는 인간중심주의적 태도를 취하면서 자율적 인공지능 로 봇의 법적 지위를 부정하는 관점이고, 둘째는 그러한 로봇의 법인격을 법인의 그것과같이 의제할 수 있다는 관점이며, 셋째는 그러한 로봇의 법적 지위를 동물이나 자연물의 그것에 유추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이들 각각의 관점에 대한 분석적이고 비판 적인 논의를 통해, 필자는 다음 몇 가지 논점을 논구한다. 우선 이들 중에서 첫 번째 관점이 취한 모종의 인간중심적 태도가 그 자체로 설득력이 있다 해도 그것이 두 번째(법인 의제)나 세 번째 관점(동물·자연물 유추)의 (법이론적)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그러한 대안이 가능하다고 해도, 이것이 그런 관점을 취할 충분한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런 관점이 얼마나 강력하게 요청되는가를 법이론적으로나 법철학적으로만이 아니라 법정책적 차원에서도 따 져봐야 한다는 것이다. 즉 그런 의제와 유추를 받아들이는 데에 드는 이론적 부담이 과연 그런 의제나 유추가 가져다 줄 실천적인 이점을 능가하는가의 여부를 측정해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concerns the legal status of the highly autonomous AI robots, thus addressing whether they can be regarded as legal subjects. As regards this topic, I introduce three perspectives, each being a cogent one. The first is to deny their legal status while keeping an anthrocentric attitude toward them, the second is to take them as legal fictions just as legal person, and the third is to analogize their status to that of animals or other natural things. By offering an analytical and critical discussion of these perspectives, I attempt to argue for the following points. Above all, if persuasive as such, the first anthropocentric perspective fails to rue out the other two perspectives. Furthermore, the mere possibility of such an alternative does not provide the sufficient reason to take it, and therefore it matters how strongly it is required―from the practical as well as leg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Specifically, we need to measure whether the theoretical burden of accepting such either the fiction and analogy excels its practical benefits.]

목차[Table of content] 
Ⅰ. 새로운 법적 주체의 출현? Ⅱ. 법적 주체가 된다는 것(혹은 법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의 의의 III. 몇몇 유력한 관점의 고찰 1. 전면 부정하기: 로봇 ~ 인공물(도구) 2. 의제를 통해 제한적으로 긍정하기: 로봇 ~ 법인? 3. 필요시에 한해 제한적으로 긍정하기: 로봇 ~ 동물 혹은 그 밖의 자연물? IV. 맺음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69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 인증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박희진, 이윤호 2018  79
368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템플릿 비트분할 분산 저장기법을 통한 생체인증 시스템 설계 / 홍윤기 2017  80
367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기술의 이슈에 대한 국제적 비교 / 박순창 2013  81
366 5 과학 기술 사회 원격의료환경에서 개인생체정보 보호 및 무결성에 관한 연구 / 김순석, 이재현 2017  81
365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률적 의미와 쟁점 / 전승재 외 2017  81
364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 대중교통 공공성 확보를 위한 쟁점과 개선방향 / 김규옥 2019  82
36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다양성으로 접근하기 / 조길수 2017  83
362 5 과학 기술 사회 Nanotechnology, Governance, and Public Deliberation: What Role for the Social Sciences? 2005  84
36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 김원제 2016  84
36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359 5 과학 기술 사회 『나를 보내지 마』를 활용한 과학소설의 학제간 교육 사례연구 / 손나경 2018  84
358 5 과학 기술 사회 문화로봇공학(Cultural Robotics) 관점의 백남준 로봇 연구 / 장효진 2017  85
3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시대에서의 의사 역할(법적 측면) / 김재춘 2016  88
356 5 과학 기술 사회 형식적인 개인정보 사전동의 규제와 이용자의 책임 간의 관계 고찰 / 문정국 외 2015  93
355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의 발전단계로 본 운전자와 인공지능의 주의의무의 변화와 규범적 판단능력의 사전 프로그래밍 필요성 2016  93
35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술평가제도의 국제 비교연구 / 김수경 외 2015  93
353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제품 및 서비스의 분석 및 제안 (1) / 이장미 2015  94
352 5 과학 기술 사회 헌법상 지식재산권 보장과 변리사의 기능강화 방안 / 정극원 2017  94
351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 생체인식 정보를 이용한 다중서버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한 연구 / 성시원 2016  94
350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의 발전과정에 대한 행정법적 대응 /박용숙 번역 2018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