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로봇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9203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 

=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in Robot Ethics for Elementary Students


  • 저자[authors] 박주현
  • 발행사항 청주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한정혜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로봇교육  2018.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충청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청주교육대학교 도서관 (243006)
  • UCI식별코드 I804:43006-200000014619

초록[abstracts]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실과 교과에 도입된 로봇교육은 로봇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어 로봇윤리에 대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로봇 관련 영역에서 로봇윤리와 관련된 내용으로 하나의 성취기준을 할애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미 실생활에서 다양한 로봇을 접하는 초등학생에게 로봇윤리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 로봇교육 전문가 및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주로 접하는 로봇의 종류를 알아보았다. 또한 문헌 연구를 통해 로봇으로 야기되는 윤리적 사례들을 수집하고, 초등 로봇교육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현장에서 로봇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이 숙지해야 할 로봇윤리 교육 내용들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내용들로 작성된 설문지로 초등 교사들에게 로봇윤리 교육 내용의 중요도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이 많이 접하는 로봇으로는 드론, 카메라 로봇, 로봇청소기 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한 로봇은 드론이었으며 이를 통해 드론 중심의 로봇윤리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로봇과 관련된 3주체를 ‘설계·제조자’,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로 설정하여 로봇과 관련한 기존의 원칙들을 분류한 결과, 기존 원칙들이 ‘설계·제조자’와 ‘서비스 제공자’의 윤리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 윤리가 로봇의 특성에 따라 구체적으로 명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드론과 교구로봇 관련 윤리 교육 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사용자 윤리에서 사생활 보호와 관련한 내용들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었으며 과몰입 및 중독에 대한 내용들이 가장 낮은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결과물과 저작권 / 신창환 2016  135
168 5 과학 기술 사회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문제 / 서주연 2015  134
167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 송선영 2017  134
166 5 과학 기술 사회 현장을 외면해버린 짝퉁 과학기술 정책/이덕환 2016  132
165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상 인공지능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김도훈 2016  132
»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2018  132
16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162 5 과학 기술 사회 AI Net :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네트워크 / 박남석, 이양옥, 전길남 1985  128
16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 김현정, 홍훈기 2010  127
160 5 과학 기술 사회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정채연 2016  127
159 5 과학 기술 사회 3 차원 세포프린팅을 위한 탈세포화 된 간 조직 유래 바이오잉크의 개발 / 한원일 외 2017  126
158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2018  126
157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영역에서의 인공지능 역할 / 정지훈 2016  124
15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문예술교육 - 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 / 김승현 외 2018  124
15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규제법 서설 / 김광수 2018  123
154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윤리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교육/ 임상수 2017  123
153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환경 점검과 정책 방향 / 김윤경 2017  122
15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규제의 특성과 규제거버넌스(Governance)의 재구성 / 김유환 2016  122
151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시스템 설계 고려요소에 대한 연구 / 문선태 2017  121
150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사회의 4차 산업혁명 수용과정과 대응전략의 시사점 / 윤정현 2018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