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19072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저자[authors] 최미정,은재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7No.6[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행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95-101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메르스,감정,정부신뢰,위험소통,재난관리

초록[abstracts] 
[우리 정부는 물론 재난 상황에 처한 외국 정부도 재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음으로써 적시 대응에 실패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대중에게 ‘사실’을 ‘사실대로’ 전달할 경우 공포·두려움과 같은 부정 정서로 인해 비합리적 반응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해 정보를 축소·은폐하다가 사전 예방에 실패하는 경향이 자주 있다는 것이다. 2015년에 한국 사회를 혼란에 빠트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례를 분석한 이 연구는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험적 관찰을 토대로 투명한 정보공개와 적극적인 위험소통(risk communication)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첫째, 부정 정서와 불신이 더 심각했던 대상은 메르스 자체가 아니라 메르스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방식이었다. 메르스 자체에 대한 공포는 발생 18일 이후부터 잦아들기 시작해 30일 이후 중립적 감정을 회복했으나, 정부의 메르스 대응에 대한 감정은 70일이 지나도록 공포·불만·슬픔과 같은 부정 정서에 사로잡혀 있었다는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둘째, 정부에 대한 부정 감정은 메르스의 객관적 위험성 정도에 비례하기보다 정보 공개의 투명성 정도에 반비례했다. 정부는 메르스 감염자를 진료한 병원 명단을 공개하면 큰 혼란과 부정적 반응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감염자 진료 병원 한 곳을 공개하자 불만정서가 감소했고, 전체 병원 명단을 공개하자 공포와 불만 정서가 감소한 반면 만족 정서는 급격히 높아졌다.     우리 정부의 위험소통에 반응하는 일반 대중의 정서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감정분석 도구 TIBUZZ SEI 1.0을 이용했다. TIBUZZ SEI 1.0은 개개인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것보다 정서와 감정 변화의 큰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분석 도구로서, 빅데이터 상의 언어를 형태소에 따라 감정단어로 분류하고 감정단어 사전을 기초로 각 감정단어에 상세 감정값을 부여하는 알고리즘에 기초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분석방법  3. 메르스 감정 분석   4. 정부의 위험소통에 따른 감정분석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29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4
22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 개인정보보호 관련 몇 가지 쟁점에 관한 고찰 / 차상육 2017  72
»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226 5 과학 기술 사회 재난상황 초기 대응실패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비난회피 행태 분석: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박치성 2017  98
225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김규영 2017  140
22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변순용 외 2017  276
22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기술의 발전과 법적 대응방향 /박종보, 김휘홍 2017  169
222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저널리즘의 윤리 기준에 대한 제언/조병욱, 박병원 2017  141
221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윤리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교육/ 임상수 2017  122
22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인간의 인격개념 사용 문제 : 신학적 인간학의 인격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김태오 2017  332
219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
218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개인정보 이용으로 인한 법익침해의 私法적 해석 / 고수윤 2017  98
217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지식재산권 보호전략과 대책 / 김승래 2017  95
216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정보 클라우드컴퓨팅 규제와 법적 과제 : EU 개인정보보호법과 비교 / 최용전 2017  296
215 5 과학 기술 사회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채승진 외 2017  106
214 5 과학 기술 사회 여성스포츠선수의 인권보호에 대한 국제적 기준과 국내 이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성폭력과 관련하여 / 권형둔 2017  119
213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49
212 5 과학 기술 사회 국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기반 의료기기 설계방안 / 조수진 외 2017  68
211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률적 의미와 쟁점 / 전승재 외 2017  81
210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201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