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82746 
역분화 줄기세포의 최신 연구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학적 고찰 

= The Mechanism of Biotechnology and Educational Study o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through analysis of 2015 Revis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저자[authors] 최자민

  • 발행사항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 114 장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장우철<br>부록: 1. 본시 교수·학습 지도안(1차시), 2. 본시 교수·학습 지도안(2차시), 3.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br>참고문헌: 장 83-98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18. 2

  • DDC[DDC] 570.7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생물교육,역분화줄기세포,과학과 교육과정

  • 소장기관[Holding]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16)

  • UCI식별코드 I804:21016-000000134047


초록[abstracts]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 과학과 관련된 사회 문제들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그 바탕이 되는 과학 내용에 대한 지식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다양한 지식을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고 앞으로의 미래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칠 생명과학 분야인 줄기세포와 생명공학기술을 중심으로 최신 연구 분야인 역분화 줄기세포(iPSC)를 주제로 선정하고 관련 연구들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현 교육과정에서 역분화 줄기세포 리프로그래밍과 관련한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내년부터 도입될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역분화 줄기세포 및 그와 관련된 생명공학 기술, 그리고 생명 윤리적 측면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역분화 줄기세포는 현재 생명공학 연구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주제 중 하나로 2006년 처음 역분화 줄기세포 유도방법을 보고한 이래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 역분화 줄기세포를 유도하는 리프로그래밍 과정에서의 암 유발 가능성, 외부유전자 도입, 낮은 효율성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었고, 긍정적인 연구 결과들도 많이 보고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의 장점들을 가지면서 생명윤리 문제를 피할 수 있는 역분화 줄기세포를 활용한 새로운 세포치료제 개발이나 조직 이식, 신약개발 등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분야에서의 발전 가능성에 큰 기대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한 줄기세포 및 생명공학 기술, 생명 윤리적 문제들은 현 교육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교육되고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문·이과 칸막이 없는 인문·사회·과학기술에 관한 기초소양 함양,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두루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등을 중심으로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소양으로서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6가지 핵심역할을 제시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이를 중심으로 역분화 줄기세포와 그와 관련된 생명공학 기술, 그리고 생명과학 관련 사회·윤리적 측면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고민해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0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40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활용에 있어 개인정보보호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홍대의 2011  64
407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체계의 재구축을 위한 헌법적 고찰 / 김나루 2017  301
406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오예정 2018  362
405 5 과학 기술 사회 DNA신원확인정보 채취·이용의 헌법적 문제 :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 제1항의 신뢰보호원칙 위반여부를 중심으로 / 조하늬 2015  289
404 5 과학 기술 사회 군내 신원확인용 인체유래물 보관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김선 2017  101
40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적 연구 : 저작물 성립여부와 보호방안을 중심으로 / 이건영 2017  279
40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저작권법적 쟁점 연구 / 유민지 2017  386
40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법인격에 관한 연구 : 권리주체를 중심으로 / 송지원 2017  569
400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 인공지능 시장 진출 전략 연구 / 박성철 2018  54
399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에 관한 법적 대응방안 연구 / 김경석 2018  300
398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규제 현황 연구 : 유럽, 미국의 인허가 전략 연구 / 이자연 2018  266
» 5 과학 기술 사회 역분화 줄기세포의 최신 연구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학적 고찰 / 최자민 2018  176
396 5 과학 기술 사회 게놈-지놈 논쟁으로 본 생명과학 용어 연구 : 생명과학 용어 표준화 과정에서 생명과학자의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 김민정 2012  387
395 5 과학 기술 사회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간 지휘·협력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세월호, 메르스, AI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황요한 2018  527
394 5 과학 기술 사회 감염병 대응 영향 요인 분석 : 사스(2003)와 메르스(2015)를 중심으로 / 이규명 2018  471
393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김규영 2017  140
392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보호 및 이용을 위한 법제 연구/최종모 2018  108
39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보안 패러다임과 책임구조의 변화 : 규범의 역할과 보안정책의 원칙/윤상필 2018  144
390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2018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