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 IT법학협동과정 민법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81959 
인공지능의 법인격에 관한 연구 : 권리주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egal Personho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s : Focused on the Subject of Rights<br>

  • 저자[authors] 송지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vii,101 p. ; 30 cm.

  • 일반주기명[Note]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지도교수: 정진명<br>각주와 참고문헌수헌 수록 : p. 93-99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 IT법학협동과정 민법전공 2017. 8

  • DDC[DDC] 346.048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기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소장기관[Holding]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초록[abstracts] 오늘날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자동화는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전으로 평가된다. 2016 세계경제포럼에서도 이러한 인공지능을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으로 다룬 만큼 인공지능이 발전하면서 가져올 변화와 경제적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공지능은 자율주행 자동차와 드론에서부터 가상 비서 및 번역, 주식 투자 소프트웨어까지 방대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향상과 일상생활에의 도입은 사회, 문화, 경제적 변화뿐만 아니라 법적 변화의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인공지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의 법적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고, 정확하게는 법과 정책이 인공지능의 발전에 어떻게 적응할 것이며 동시에 인공지능이 법과 정책에 반영된 가치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인공지능이 법적 측면에서 문제되는 이유는 구글의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술을 통해 프로그램이 경험으로부터 스스로 학습하고 인지적 추론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 있다. 결국 자율적인 인공지능이 설계자가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행위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 가해자의 고의·과실 등 불법행위책임의 요건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현재로서는 인공지능의 완전한 자율성과 자의식을 기대할 수 없지만 향후 기술이 발전하여 자율주행 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하고 로봇이 일상생활에서 인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면 사정이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인공지능이 인간의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했다면 그에 대한 책임을 인간에게 돌릴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이에 대하여 인공지능의 이용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다면 자동차, 로봇 등의 제조업자 및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의 설계자, 개발자 등에게 제조물책임 등을 적용하자는 논의가 있다. 나아가 현행법은 권리주체를 자연인과 법인으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에게 책임을 부담지우기 위해서 인공지능 자체를 권리주체로 인정해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결국 현재의 기술 발전 속도로 미루어 보아 고도의 지능을 갖춘 강한 인공지능이 도래하고 자율적인 인공지능이 우리 일상생활에서 많아질수록 인공지능은 인간의 단순한 도구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가 책임을 부담할 수 있는 새로운 규칙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인공지능이 어떠한 법적 지위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새롭게 나타나는 인공지능과 관련한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하나의 권리주체로 인정하는 방안과 인공지능이 권리주체가 된다면 어떠한 범주의 법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에 대한 근거를 다루어 볼 것이다. 또한 인공지능의 책임에 관하여 기존 책임법제의 적용 여부를 살펴봄으로써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법제 변화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40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활용에 있어 개인정보보호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홍대의 2011  64
407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체계의 재구축을 위한 헌법적 고찰 / 김나루 2017  301
406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오예정 2018  362
405 5 과학 기술 사회 DNA신원확인정보 채취·이용의 헌법적 문제 :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 제1항의 신뢰보호원칙 위반여부를 중심으로 / 조하늬 2015  289
404 5 과학 기술 사회 군내 신원확인용 인체유래물 보관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김선 2017  101
40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적 연구 : 저작물 성립여부와 보호방안을 중심으로 / 이건영 2017  279
40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저작권법적 쟁점 연구 / 유민지 2017  386
»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법인격에 관한 연구 : 권리주체를 중심으로 / 송지원 2017  572
400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 인공지능 시장 진출 전략 연구 / 박성철 2018  54
399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에 관한 법적 대응방안 연구 / 김경석 2018  300
398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규제 현황 연구 : 유럽, 미국의 인허가 전략 연구 / 이자연 2018  266
397 5 과학 기술 사회 역분화 줄기세포의 최신 연구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학적 고찰 / 최자민 2018  176
396 5 과학 기술 사회 게놈-지놈 논쟁으로 본 생명과학 용어 연구 : 생명과학 용어 표준화 과정에서 생명과학자의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 김민정 2012  387
395 5 과학 기술 사회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간 지휘·협력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세월호, 메르스, AI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황요한 2018  530
394 5 과학 기술 사회 감염병 대응 영향 요인 분석 : 사스(2003)와 메르스(2015)를 중심으로 / 이규명 2018  472
393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김규영 2017  140
392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보호 및 이용을 위한 법제 연구/최종모 2018  109
39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보안 패러다임과 책임구조의 변화 : 규범의 역할과 보안정책의 원칙/윤상필 2018  144
390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2018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