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14333 
일본에서의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상 논의 동향 

= The Trend of Discussion on Copyright Law of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ons in Japan

  • 저자[authors] 고재종(Koh, Jae J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法學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5No.-[2018]

  • 발행처[publisher]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5-24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인공지능의 저작권,인공지능의 저작인접권,인공지능의 창작물,저작권법,인공지능의 작품 관여자,Artificial intelligence,copyright of artificial intelligence,neighboring copyrights of artificial intelligence,cre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copyright law,work participa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초록[abstracts]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종래 인간이 행하던 창작 활동에 AI의 관여가 점차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AI의 능력과 관련하여 일부는 인공지능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진화한 인공지능이 사람과 유사한 지식을 갖출 경우 그들도 사람처럼 보호받을 권리를 부여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일본은 AI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인정할 것인가에 대하여 현행 저작권법을 재검토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AI에 대하여 막연하고 피상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일본이 위에서와 같은 논의를 하고 있을 당시 우리나라는 인공지능 기계인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에서 과연 누가 이길 것인지에 대한 관심을 기울였을 뿐이다. 그렇지만 이제 우리나라도 AI의 창작물 등에 대하여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하루 빨리 검토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현재 및 향후의 AI에 대한 일본의 저작권법상의 논의 내용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검토 결과 향후 우리나라도 AI의 창작물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행 저작권법의 내용을 수정하여 AI의 창작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만, AI 기술에 대한 법 제도의 구축과 관련하여 AI 기술의 발전에만 관심을 기울일 것이 아니라 인간처럼 사상이나 감정을 갖는 AI를 만드는 것이 과연 좋은 일인지, 인간의 뇌기능을 AI에 어느 정도까지 대체시키는 것이 좋을 것인지 윤리적인 측면도 함께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일본의 현재 및 장래의 인공지능활동의 현황  Ⅲ. 일본 저작권법상의 취급  Ⅳ. AI관련 몇 가지 문제점과 그에 대한 논의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9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보조공학 활용 방안에 관한 소고 / 김용욱 외 2018  68
388 5 과학 기술 사회 국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기반 의료기기 설계방안 / 조수진 외 2017  68
387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 헬스케어 존을 활용한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재익 외 2018  69
386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정체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체현으로서의 사이보그 : 다다 뉴맨에서 동시대의 혼성신체까지 / 최정은 2015  70
385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데이터 샌드박스에 관한 연구 / 김배현, 권영일 2018  70
384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의 결함과 법적 책임에 관한 고찰 2016  71
383 5 과학 기술 사회 남성돌봄자 증가와 젠더질서의 역동 : 일본남성의 노인돌봄을 둘러싼 담론과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 지은숙 2017  71
38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 정진명 2019  71
381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2
38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 개인정보보호 관련 몇 가지 쟁점에 관한 고찰 / 차상육 2017  72
37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378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의 과학기술보안규정과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보안제도 정책과의 비교 연구 / 강선준 외 2018  73
377 5 과학 기술 사회 손잡고 따라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기법 / 정유철, 한헌수 2009  74
376 5 과학 기술 사회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손진화 2009  75
375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
374 5 과학 기술 사회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신은미, 양승민 2018  77
373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2018  77
372 5 과학 기술 사회 휴머노이드 로봇 캐릭터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라인 / 우명희 2004  78
37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유럽의 인공지능(AI) 특허기술 / 조재신 2018  78
370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 인증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박희진, 이윤호 201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