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치안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06050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문제 

= Problems on the Collecting and Oversight in DNA Database

  • 저자[authors] 서주연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치안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9No.3[2015]

  • 발행처[publisher]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65-29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5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50

  • 주제어[descriptor] DNA정보,DNA감식시료 채취,DNA데이터베이스,DNA대량검색,DNA information,DNA collecting,DNA database,Wide search for DNA,CODIS


초록[abstracts] 
[현대 과학기술의 발달은 범죄를 수사함에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유죄입증을 위한 증거수집 및 분석에 있어서도 과거에는 관련기술의 부재로 증거로서의 중요성을 가지지 못했던 것들이 이제는 유죄의 입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과거 혈액형의 동일성을 증명하였던 것에 불과하던 혈흔에서도 이제는 DNA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범행을 입증할 수 있기에 이른 것이다. 이에 우리는 DNA정보가 가지는 중요성에 주안점을 두고 DNA정보 운용을 위한 디엔에이(DNA)신원확인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여 시행중에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서는 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관리 적용대상이 너무 포괄적이라는 지적에서부터 DNA대량검색을 통한 그물망 수사 문제 및 관련 정보의 폐기와 관련한 문제에 이르기 까지 여러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DNA정보 운용과 관련해서는 우리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며 그 중 미국의 경우 1990년대부터 관련 법제가 마련된 바 있다. 미국은 DNA관련 규정을 연방과 각 주에서 따로 규정하고 있으나 각 시스템이 연계되어 운용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DNA신원확인정보의 대상을 확대하고 있으며 관련 정보의 폐기와 관련해서도 각 주별 관대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우리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실행 중인 디엔에이신원확인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한 후 미국에서 시행 중인 DNA관련 법제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 법제의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has a positive influence in crime investigation. Especially technology of DNA analysis gave us possibility to compare prisoners blood or body fluids. DNA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is based on Deoxyribonucleic acid, it gave us to information for human identity. DNA analysis is a kind of forensic science, and it means a lot in police investigation today. DNA information raised very important thing to solve the case, so the DNA Act in Korea was enacted in 2010. It regulated method of collecting samples, warrant issues, disposal of it and delete the data etc. Nonetheless it has some problems like a including none violent crimes, collecting samples in suspects and massive collecting issues. United States is the one of the country has attention about DNA information and well regulated. Database about DNA information in US separated by CODIS and States databases, but its connected both way. It also has a feature like a expansion to none violent crime, regulations of saved DNA samples for the re-analysis, these things are huge differences between us. DNA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in human life, so we have to have more caution to collecting and make databases.]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Ⅱ.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Ⅲ. 미국의 디엔에이(DNA)데이터베이스 관련 법제 Ⅳ.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과 미국의 디엔에이(DNA) 데이터베이스 관련 법제와의 비교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6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결과물과 저작권 / 신창환 2016  135
16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 송선영 2017  134
» 5 과학 기술 사회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문제 / 서주연 2015  133
166 5 과학 기술 사회 현장을 외면해버린 짝퉁 과학기술 정책/이덕환 2016  132
165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상 인공지능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김도훈 2016  132
164 5 과학 기술 사회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윤리 교육 내용 개발/박주현 2018  132
16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162 5 과학 기술 사회 AI Net :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네트워크 / 박남석, 이양옥, 전길남 1985  128
16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 김현정, 홍훈기 2010  127
160 5 과학 기술 사회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정채연 2016  127
159 5 과학 기술 사회 3 차원 세포프린팅을 위한 탈세포화 된 간 조직 유래 바이오잉크의 개발 / 한원일 외 2017  126
158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2018  126
157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영역에서의 인공지능 역할 / 정지훈 2016  124
15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문예술교육 - 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 / 김승현 외 2018  123
155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환경 점검과 정책 방향 / 김윤경 2017  122
154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규제의 특성과 규제거버넌스(Governance)의 재구성 / 김유환 2016  122
15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규제법 서설 / 김광수 2018  122
152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윤리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교육/ 임상수 2017  122
151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시스템 설계 고려요소에 대한 연구 / 문선태 2017  121
150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사회의 4차 산업혁명 수용과정과 대응전략의 시사점 / 윤정현 2018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