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92671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저자[authors] 오예정

  • 발행사항 서울 :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나은영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커뮤니케이션,인공지능,상호작용

  • 소장기관[Holding] 서강대학교 도서관  (211029)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간과 인공지능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탐구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촉발 요인으로 감정과 스트레스를 꼽았으며, 실험 시 유발된 분노/ 슬픔/ 중립 감정에 따른 스트레스가 인간과 인공지능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대화시간 평가, 대화자 평가, 인지된 즐거움과 인지된 유용성, 채팅 앱 재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주로 20, 30대의 스마트폰 이용자 120명을 대상으로 채팅 앱(application)을 통한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감정에 따라 지각된 스트레스는 인간과 인공지능과의 각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스트레스 정도를 낮춘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특히, 분노 감정과 슬픔 감정이 처치된 집단에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반응도를 보였고,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에 따라 실험 후 지각된 스트레스가 낮게 측정 되었다. 
둘째, 피 실험자의 평소 생활 스트레스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평가에 있어서 ‘인지된 유용성’과 ‘채팅 앱 재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분노/슬픔/중립 감정에 의해 지각된 스트레스는 커뮤니케이션 평가에 있어서 ‘채팅 앱 재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 인지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평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화 시간 평가, 대화자 평가, 인지된 즐거움과 유용성, 채팅 앱 재사용 의도에 있어서 채팅앱 상에서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 반응이 비슷한 수준일지라도, 인공지능 보다 인간 커뮤니케이터에 대한 평가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노/ 슬픔/ 중립 감정 집단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평가에 커뮤니케이터 요인을 추가하여 감정과 각 집단 간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분노’ 감정을 느끼는 집단 사이에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에 따른 대화시간과 대화자 평가 차이를 보였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와의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에 있어서 분노/ 슬픔/ 중립의 3가지 감정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기술적 관점에서 접근하던 기존의 선행 연구와 달리, 커뮤니케이션학 범주를 토대로 새로이 등장한 커뮤니케이터로서의 특성을 탐색하였다는 데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실험 연구를 통하여 보다 직접적으로 감정과 스트레스, 커뮤니케이터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평가 차이를 도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갖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직업변화 / 김미혜 2016  260
288 5 과학 기술 사회 헬스케어 클라우드 동향과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 개발 사업 / 최종수 외 2018  259
287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과 공학윤리/김유신, 성경수 2004  257
286 5 과학 기술 사회 사전주의의 원칙은 비과학적인가? : 위험 분석과의 논쟁을 통해 본 사전주의 원칙의 ‘합리성’ / 하대청 2010  256
285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보건·생명과학 연구 제도 혁신의 산물 / 성경모 2015  256
28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대한 전자인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실현방안에 관한 고찰 / 김진우 2019  256
28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이후의 삶: 노동하지 않아도 행복한가? / 현남숙 2016  252
282 5 과학 기술 사회 [편집장 칼럼] 브레인 2016 3대 키워드 : AI(인공지능), 뇌파, 감정 관리/장래혁 2016  250
28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핀테크 / 김원걸 2016  250
280 5 과학 기술 사회 현행 성폭력범죄 대책의 문제점과 보완방향 / 김태명 2018  250
279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에서의 생명공학 발명의 법적 보호/강준모 2013  249
27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AI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김승래 2018  245
277 5 과학 기술 사회 스파이크 존즈의 〈그녀〉에서의 인공지능과 몸, 감정, 윤리적 주체의 문제/ 박선화 2018  243
27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비판적 스케치 / 이재현 2016  242
275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특허에 있어서 인권 문제 / 박성호 2008  241
274 5 과학 기술 사회 도덕적 인공 지능에 관한 비판적 고찰/추병완 2017  239
273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교감하는 감성로봇 관련 기술 및 개발 동향 / 김평수 2016  238
272 5 과학 기술 사회 IoT 중심의 사회복지시설 정보화 현안과 정책 과제 / 이연희 외 2016  238
27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추론방식을 활용한 법적 논증 / 유승익 2016  237
270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기반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인공지능 / 홍광진 2015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