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92671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저자[authors] 오예정

  • 발행사항 서울 :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나은영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커뮤니케이션,인공지능,상호작용

  • 소장기관[Holding] 서강대학교 도서관  (211029)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간과 인공지능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탐구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촉발 요인으로 감정과 스트레스를 꼽았으며, 실험 시 유발된 분노/ 슬픔/ 중립 감정에 따른 스트레스가 인간과 인공지능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대화시간 평가, 대화자 평가, 인지된 즐거움과 인지된 유용성, 채팅 앱 재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주로 20, 30대의 스마트폰 이용자 120명을 대상으로 채팅 앱(application)을 통한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감정에 따라 지각된 스트레스는 인간과 인공지능과의 각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스트레스 정도를 낮춘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특히, 분노 감정과 슬픔 감정이 처치된 집단에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반응도를 보였고,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에 따라 실험 후 지각된 스트레스가 낮게 측정 되었다. 
둘째, 피 실험자의 평소 생활 스트레스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평가에 있어서 ‘인지된 유용성’과 ‘채팅 앱 재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분노/슬픔/중립 감정에 의해 지각된 스트레스는 커뮤니케이션 평가에 있어서 ‘채팅 앱 재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 인지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평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화 시간 평가, 대화자 평가, 인지된 즐거움과 유용성, 채팅 앱 재사용 의도에 있어서 채팅앱 상에서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 반응이 비슷한 수준일지라도, 인공지능 보다 인간 커뮤니케이터에 대한 평가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노/ 슬픔/ 중립 감정 집단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평가에 커뮤니케이터 요인을 추가하여 감정과 각 집단 간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분노’ 감정을 느끼는 집단 사이에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에 따른 대화시간과 대화자 평가 차이를 보였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공지능 커뮤니케이터와의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에 있어서 분노/ 슬픔/ 중립의 3가지 감정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기술적 관점에서 접근하던 기존의 선행 연구와 달리, 커뮤니케이션학 범주를 토대로 새로이 등장한 커뮤니케이터로서의 특성을 탐색하였다는 데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실험 연구를 통하여 보다 직접적으로 감정과 스트레스, 커뮤니케이터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평가 차이를 도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갖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9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공학자의 사명과 역할/김경천 2002  343
88 5 과학 기술 사회 미국 캘리포니아의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제 분석 2017  344
87 5 과학 기술 사회 연구자주도임상 관련 재정적 지원의 법률적 문제점에 대한 검토 / 강한철 2012  347
8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시대의 형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이건필 2019  347
85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과 헌법- 인간의 존엄, 연구의 자유 그리고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조홍석 2015  350
8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최재원 2017  351
83 5 과학 기술 사회 기획특집: 3D 프린팅 기술 : 생체의료 분야 응용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 / 박소현 2015  352
82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 활용, 어디까지 왔나? / 권웅기, 김훈태 2017  354
81 5 과학 기술 사회 [아이로봇] 브레인-로봇신문 공동 기획 - 인공지능AI, 심리적 불안과 생활 속 편리함 사이/편집부 2015  360
»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오예정 2018  362
79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드러난 가치 적용 방식 유형 / 주인애, 이현주 2013  363
7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이 책임과 권한의 주체일 수 있는가/고인석 2012  367
77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조한나 2017  368
76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 삶을 바꿀 2045년 미래로봇 /강철구 외 2015  375
75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과 독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입법개선을 위한 소고 / 임규철 2018  375
7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저작권법적 쟁점 연구 / 유민지 2017  386
73 5 과학 기술 사회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권기석 2000  387
72 5 과학 기술 사회 게놈-지놈 논쟁으로 본 생명과학 용어 연구 : 생명과학 용어 표준화 과정에서 생명과학자의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 김민정 2012  387
71 5 과학 기술 사회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웨어러블 아트의 발전 가능성 연구 / 김계옥 2017  388
70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바이오 기술을 이용한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 윤채옥 2008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