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179937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책임 ―논의방향의 설정에 관한 몇 가지 발전적 제언―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riminal Liability


  • 저자[authors] : 안성조 ( Ahn Seong-jo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법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0No.2[2017]
  • 발행처[publisher] : 한국법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77-122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형사책임(criminal liability), 형사과 실(criminal negligence), 형벌제도의 기원(origin of penal system), 팃포탯 전략(tit for tat strategy),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 (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 삶의 형식(form of life), 인간-종 중심 적 부족주의(anthropocentric tribali)


초록[abstracts]

[본고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법적 쟁점 중 형사책임의 문제, 이를테면 인공지능이 탑재된 의료용 로봇이나 산업용 로봇이 인명사고를 냈을 때 이에 대한책임소재의 문제를 형법적 측면에 국한해 고찰해 보면서 이 경우에 제조업자나 사용자 또는 인공지능 로봇 자신 중 과연 누가 책임을 지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 검토해 보았다. 현 수준의 `약`인공지능에 대해서는 주로 과실범이나 형법상 제조물 책임 등의 법리에 의해 인공지능의 제조업자, 설계자, 프로그래머, 판매자 및 사용자 등에게 책임을 지우려는 시도가 우세한 반면, 미래에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강`인공지능에 대해서는 인공지능 자체의 직접적인 형사책임을 인정하려는 견해가 주를 이루고 있는바, 본고에서는 비단 현 수준의 인공지능뿐 아니라 미래의 `강`인공지능이라 하더라도 오랜 진화사로부터 형성된 인간-종 중심적 부족주의에 비추어 볼 때 형사책임의 주체로 인정받기는 어려울 것이므로 굳이 인간적인 감정과 의식까지 구비한 인공지능을 상정해가며 형사책임 논의를 하려는 시도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지 못할 것이고 따라서 비의식적 지능인 현 단계의 인공지능에 대한 형사책임 논의가 미래에도 유의미한 함의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해 보았다. 단, 또 다른 유사인격체인법인의 형사책임 인정논의가 긍정론과 부정론을 오가는 과정을 거쳐 온 것처럼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책임 논의도 비슷한 전개양상을 보일 것이고, 따라서 미래의 어느 시점에 진화적 동인에서 비롯된 심리적 저항감을 극복하고 인공지능에 대한 형사처벌의 실익이 크다는 광범위한 사회적 합의가 형성된다면 인공지능 로봇이 형사책임의 주체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8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계약법 / 이상용 2016  148
188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과 과학정책, 그리고 과학정신/엄정식 2016  147
187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발생에 따른 형사책임의 귀속여부 - 레벨4단계를 중심으로 - 2017  146
18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위험책임의 역할과 한계-인공지능 로봇에 의해 발생한 손해의 책임귀속을 고려하여 / 서종희 2018  146
18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법률서비스에 대한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적용 여부에 관한 고찰 /이병규 2018  145
18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시도 / 김형주 2016  144
18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보안 패러다임과 책임구조의 변화 : 규범의 역할과 보안정책의 원칙/윤상필 2018  144
182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과 법적 함의 / 주강원 2016  143
181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의 범위에 관한 연구 : GDPR의 비식별조치와 약학정보원 사건의 검토 / 양기진 2018  143
180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메트릭 데이터 활용 서비스에서 바이오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 정부금 2019  142
17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저널리즘의 윤리 기준에 대한 제언/조병욱, 박병원 2017  141
»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책임 ―논의방향의 설정에 관한 몇 가지 발전적 제언 / 안성조 2017  140
177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김규영 2017  140
17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상용화에 따른 성경적 관점의 윤리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이완형 2018  140
175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김훈기 2002  139
174 5 과학 기술 사회 세상속으로: 해외동향 : 미국: IBM 왓슨(Watson)을 통해 살펴본 인공 지능 기술과 빅 데이터의 접목과 활용 가능성 / 윤창근 2012  139
173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2017  138
172 5 과학 기술 사회 탄소나노소재기술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 배성훈 2016  136
171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산업 리베이트관행의 경쟁법적 쟁점과 과제 / 이봉의 2009  136
17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형 로봇시스템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강문혜, 송선영 2019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