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간호행정학회지 
관련링크 :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Self-efficacy o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 저자[authors] 권기연,오복자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간호행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5No.2[2019]
  • 발행처[publisher] 간호행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6-11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self-efficacy on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Methods: A purposive sample of 212 nurses from two general hospitalswas recruited for th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During March and April, 2017, data were collected through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assessment tools wer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Scale,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22.0 and AMOS 22.0 programs. Results: The mean scor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y nurses was4.29. A mean score of 4.49 was found for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a mean of 3.43 for the degree of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analysis revealed that self-efficacy (β=.31, p<.001) and nursingworkplace spirituality (β=.27, p<.001) were predictiv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R2=.18,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efficacy and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re highly associated with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y nurses. Intervention programs are needed to promote self-efficacy as wellas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국문 초록[abstrac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일터영성과 자기효능감이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설계는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2개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212명이 목적적 표본으로 모집되었다. 자료는 2017년 3월부터 4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측정도구는 환자안전관리활동 도구, 간호일터영성도구 및 자기효능감도구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 22.0 and AMOS 22.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수행되었다. 결과: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평균점수는 4.29로 나타났고, 간호일터영성은 평균 4.49, 자기효능감은 평균 3.43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자기효능감(β=.31, p<.001)과 간호일터영성(β=.27, p<.001)은 간호사의 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R2=.179, p<.001).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자기효능감과 간호일터영성이 연관성이 큰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간호일터영성을 증진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1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지정 토론문 / 김성곤 2018  36
11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 유효현 외 2017  38
109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108 4 보건의료 철학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 최선욱 외 2018  58
107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 지원서비스 요구도 / 김상희 외 2015  64
10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김승현 2018  66
105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104 4 보건의료 철학 전공의 윤리 교육 / 전재범 2019  69
10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 민순 외 2016  71
102 4 보건의료 철학 장애인 건강권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 장애인 건강 주치의를 중심으로 / 임종한 2017  72
101 4 보건의료 철학 보건계열 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및 수행 자신감 : 융복합적 접근 / 이미향 외 2019  72
100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문미영 외 2018  74
99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기업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 정호일 외 2017  78
98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81
97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1
9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2018  81
9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2018  81
94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93 4 보건의료 철학 의과대학에서의 의료법 교육 : 목표, 실천방향 및 접근방법 / 박지용 2017  82
9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2018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