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사과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68165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와의 관계

  • 저자[authors] 정지현
  • 발행사항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83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천주영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사과정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사전의료의향서,간호사,임종기치료,연명치료,사전의료의향서 작성 교육요구도
  • 소장기관[Holding]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1)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교육요구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의료기관에서의 사전의료의향서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특별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3개월 이상 경력의 병동간호사 169명으로 2018년 7월 19일부터 7월 2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척도, 그리고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엄가영(2015)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체 169명으로 전원(100%) 여자였다. 대상자들의 평균연령군은 26~30세가 63명(38.2%)으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미혼이 134명(79.3%)이었다. 학력은 대졸이 102명(61.1%)으로 가장 많았고,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56명(93.4%)이었다. 2)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에 대한 지식은 11점 만점에 8.56±1.61점, 연명치료에 대한 지식은 6점 만점에 5.11±0.94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9점 만점에 8.02±1.33점이었다.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4.31±0.58점이었다. 3) 임종기 치료에 대한 지식 중 정답률이 높은 항목은 “호스피스 완화의료란 회복 불가능한 말기상태 환자가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임종을 맞이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true)”(98.8%)였고, 낮은 항목은 “임종기에 있는 환자는 충분한 연명치료가 없다면 근시일 내에 죽는다(true)”(32.5%)였다. 연명치료에 대한 지식 중 정답률이 높은 항목은 “연명치료란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false)”(93.5%)였고, 가장 낮은 문항은 “연명치료란 회복이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 에서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치료를 말한다(true)”(69.8%)이었다. 사전의료의향서에 관한 지식 중 정답률이 높은 항목은 “환자는 연명치료를 허락하거나 거절할 권리가 있다(true)”(99.4%)였고, 낮은 항목은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려면 반드시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false)”(72.2%)였다. 4)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기 치료에 대한 지식은 임상경력(F=4.686, p=.004), 연령(F=2.799, p=.042), 생명의료윤리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t=2.057, p=.04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에 대한 지식은 결혼상태(t=2.898, p=.004), 임상경력(F=4.091, p=.008), 직위(t=2.251, p=.0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결혼상태(t=2.221, p=.028), 교육정도(F=3.297, p=.039), 임상경력(F=3.659, p=.014), 연령(F=2.708, p=.047), 임종 가족이 있는 경우(t=3.105, p=.002), 죽음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t=2.204, p=.02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5) 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4.31±0.58점이었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결혼상태(t=2.941, p=.004), 교육정도(F=3.924, p=.022), 임상경력(F=4.148, p=.007), 연령(F=5.106, p=.002), 직업에 대한 만족도(F=3.747, p=.02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간호사의 연명치료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r=.182, p=.018),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r=.234, p=.002).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경력이 길수록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았다.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이는 임상경력이 길수록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중인 환자를 간호할 기회가 많고, 마찬가지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을 획득할 기회가 많은 간호사가 사전의료의향서의 중요성과 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강하게 인식하게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명의료결정법 시행으로 인해 간호사는 사전의료의향서와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임종기 치료 및 연명치료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간호사의 임상경력 및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수준에 따른 수준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사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11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89
110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2018  2225
109 4 보건의료 철학 생명(生命), 신체(身體), 정신(精神) / 정창록 2018  1644
108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2018  1501
10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간호사 및 의사의 인식 / 김가희 외 2018  1025
106 4 보건의료 철학 임상병리사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 조윤란 2018  969
10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과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자신감/정민 2016  954
10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2019  879
103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정보학 이해를 위한 영화 ‘The Island’ 활용 / 오진아 외 2015  832
10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2003  736
101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2019  702
10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박민아 2018  637
99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3
98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윤리 교육에서 영화 및 역할극의 이용가능성 및 효과성 비교/정석희, 신자현 2015  547
97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사고와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장인실, 이경숙 2019  543
9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95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3
9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3
9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오미선 2019  481
92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및 역할인식 / 유정임 2019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