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43982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의 실천과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rson-Centered Ca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Working in Geriatric Hospitals

  • 저자[authors] 허아영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vi, 81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신주현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2019. 2
  • DDC[DDC] 6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54221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of nurses, and patient safety competenc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t geriatric hospitals. Independent variables were age, level of education, total nursing career, experience in patient safety education, working experience related to patient safety,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patient safety attitude, patient safety skills, patient safety knowledge. Dependent variables wer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6 nurses from 12 geriatric hospitals, from August 1 until August 31, 201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 tests, one-way ANOVA 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n a subject’s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was  3.27±0.43. The mean score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was 3.92±0.44, and the mean sco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as 4.52±0.42. 2. Patient safety compet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3.040, p=.030),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6.552, p=.002), total nursing career(F=3.158, p=.026), experience in patient safety education(t=2.271, p=.024), and working experience related to patient safety(t=4.577, p<.001).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ing experience related to patient safety(t=2.384, p=.019).  3.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and patient safety knowledg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tatistical(r=.159, p=.030). In addition, patient safety attitude(r=.204, p=.005), patient safety skills(r=.451, p<.001), patient safety knowledge(r=.292, p<.001)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tatistical. 4. Patient safety skills(β=.417, p<.001), and age(β=.209, p=.035)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explanation power was 27.4%(R²=.274), and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4.048 p<.001).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atient safety skills and age have an influenc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hu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at Geriatric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improve patient safety skills of nurses and secure skillful and experiential nurses.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 실천 정도와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S시와 G도의 C시, K시 소재 12개의 노인요양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86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인간중심돌봄 실천 정도 측정을 위해 Edvardsson 등(2010)이 개발한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P-CAT)을 탁영란 등(2015)이 번역한 한국어판 인간중심돌봄 사정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역량 정도 측정을 위해 Lee (2012)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 측정을 위해 박소정(2009)이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문주희와 윤숙희(2018)가 노인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 총 186명 중 여성이 184명(98.9%)이었고, 연령은 평균 43.61세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145명(78.0%)으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최종학력은 3년제 간호과 졸업이 122명(65.6%)으로 비율이 높았다. 총 병원경력은 평균 12년 9개월±102.29로 나타났고, 현재 근무 중인 노인요양병원 근무경력은 평균 2년 8개월±31.90로 나타났다. 167명(89.8%)이 환자안전에 대해 교육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환자안전 관련 업무 경험에 대해서는 146명 (78.5%)이 환자안전 관련 업무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사고를 직접 경험을 한 대상자는 153명(82.3%)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인간중심돌봄 실천,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 대상자의 인간중심돌봄 실천의 평균 점수는 3.27±0.43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역량의 평균 점수는 3.92±0.44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환자안전태도 4.33±0.45점, 환자안전기술 3.84±0.52점, 환자안전지식 3.27±0.76점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 간호활동의 평균 점수는 4.52±0.42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낙상 4.64±0.42점, 감염 4.62±0.48점 순으로 높았고, 의사소통 4.34±0.68점이 가장 낮았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돌봄 실천,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돌봄 실천,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에서 연령(F=3.040, p=.030), 최종학력(F=6.552, p=.002), 총 병원경력(F=3.158, p=.026), 환자안전 교육 경험(t=2.271, p=.024), 환자안전 관련 업무 경험(t=4.577, p<.001)은 환자안전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 관련 업무 경험(t=2.384, p=.019)은 환자안전간호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인간중심돌봄 실천, 환자안전역량 및 환자안전간호활동 간의 상관관계 인간중심돌봄과 환자안전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159, p=.030). 환자안전태도와 환자안전기술(r=.415, p<.001), 환자안전지식(r=.214, p=.003), 환자안전간호활동(r=.204, p=.0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환자안전기술과 환자안전지식(r=.648, p<.001), 환자안전간호활동(r=.451,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환자안전지식은 환자안전간호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292, p<.001). 5.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환자안전기술(β=.417, p<.001)과 연령(β=.209, p=.035)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7.4%(R²=.274)였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4.048,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환자안전기술과 대상자의 연령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요양병원의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노인요양병원 간호사들의 환자안전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방면의 전략개발과 임상경험을 가진 숙련된 간호사의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1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지정 토론문 / 김성곤 2018  36
11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 유효현 외 2017  38
109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108 4 보건의료 철학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 최선욱 외 2018  58
107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 지원서비스 요구도 / 김상희 외 2015  64
10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김승현 2018  66
105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104 4 보건의료 철학 전공의 윤리 교육 / 전재범 2019  69
10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 민순 외 2016  71
102 4 보건의료 철학 장애인 건강권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 장애인 건강 주치의를 중심으로 / 임종한 2017  72
101 4 보건의료 철학 보건계열 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및 수행 자신감 : 융복합적 접근 / 이미향 외 2019  72
100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문미영 외 2018  74
99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기업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 정호일 외 2017  78
98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81
97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1
9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2018  81
9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2018  81
94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93 4 보건의료 철학 의과대학에서의 의료법 교육 : 목표, 실천방향 및 접근방법 / 박지용 2017  82
9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2018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