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60337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저자[authors] 김선정,김연선,김지훈,이정화,장경은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5[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융합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3-5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4차 산업혁명, 보건의료 산업분야, 융합교육 프로그램, 희망교육, 희망이직, 4th industrial revolution, Health and Medical Industry, Convergence education, Wishful education, Wishful job leaving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사회변화에 따른 대학의 신수요 창출을 위한 성인학습자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교육 분야와 이직분야, 교육요구 관련 문항을 도출, 보건의료산업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7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하였으며, 그 결과 바이오․ 의료기기, 고령친화산업, 환경․안전, 임상심리사, 외식산업(커피분야)등이 향후 필요한 교육 분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분야별 관련 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2017년 8월 19일부터 9월 2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4차 산업혁명 의 도래와 분야별 변화 그리고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on awarenes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ing much debated recently and sugges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adult learner in order to create a new demand of university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Based on earlier research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working in the health and medical industry with questionnaire including the relevant educational field, areas of turnover and educational needs from July 1 to July 31, 2017. As a result, the bio-medical device, senior-friendly industry, environment and safety, clinical counselor and food service industry(coffee industry) were identified as necessary education areas. To enhance the validity of research results, in-depth interviews of relevant experts in each field were conducted from August 19 to September 22, 2017, and presented necessary education programs driven by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each area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설문조사    3.2 전문가 심층 인터뷰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1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지정 토론문 / 김성곤 2018  36
11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 유효현 외 2017  38
109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108 4 보건의료 철학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 최선욱 외 2018  58
107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 지원서비스 요구도 / 김상희 외 2015  64
10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김승현 2018  66
105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104 4 보건의료 철학 전공의 윤리 교육 / 전재범 2019  69
10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 민순 외 2016  71
102 4 보건의료 철학 장애인 건강권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 장애인 건강 주치의를 중심으로 / 임종한 2017  72
101 4 보건의료 철학 보건계열 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및 수행 자신감 : 융복합적 접근 / 이미향 외 2019  72
100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문미영 외 2018  74
99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기업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 정호일 외 2017  78
98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81
»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1
9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2018  81
9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2018  81
94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93 4 보건의료 철학 의과대학에서의 의료법 교육 : 목표, 실천방향 및 접근방법 / 박지용 2017  82
9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2018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