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845483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지원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An Integrative Review of Clinical Ethics Support Services for Clinical Nurses

  • 저자[authors] 김상희,김두리,서민정,이세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1[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8-7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clinical ethics support services for clinical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method with five steps was applied. In the step of problem identification, three issue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ly published research, research subjects and interventions, and major concepts regarding clinical ethics support services for clinicalnurses. Relevant reports were searched from databases including PubMed, Cochrane library, and JoannaBriggs Institute with key words regarding clinical ethics. Finally, 50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2 were selecte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was empirical with descriptive study designs. Over 60% of this research focused on nurses as research subjects. Only two interventional studies were retrieved. Major concepts related to clinical ethics support services were ethical dilemmas, ethical issues, and ethical decision-making.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that more interventional research is needed in support of ethics training for clinical nurses.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문제를 돕기 위한 임상윤리지원서비스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임상간호사를 위한 임상윤리지원서비스에 대해 통합적 문헌고찰을 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Whittermore & Knafl의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지원서비스와 관련된 연구의 특성, 연구 대상자 및 중재유형, 주요개념을 문제로 규명하였다. 문헌검색에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임상간호사, 윤리교육, 윤리상담, 윤리정책의 단어조합으로 검색된 50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간호사를 위한 임상윤리지원서비스와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경험적 연구(empirical research)였으며, 연구대상자는 60% 이상이 일반 간호사로 나타났다. 또한 최종 선정된 50개의 논문의 대부분은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중재연구는 2편으로 보고되었다. 임상윤리지원서비스와 관련된 주요 윤리적 개념으로는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이슈, 윤리적 의사결정이 주를 이루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예방윤리 관점에서 임상간호사를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임상윤리지원서비스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또한 임상간호사를 위한 임상윤리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11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전문직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 김명희 1985  335
11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29
109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2002  513
108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2003  738
107 4 보건의료 철학 덕 윤리와 의학전문직업성의 관련성 / 김수정 2011  290
106 4 보건의료 철학 한국 의사들의 의학 전문직업성과 소명에 관한 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 최숙희 2012  140
105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의 과실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임미영 2012  116
10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자긍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미정 2013  238
10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2013  199
10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101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요인 : 윤리적 가치관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 / 엄인향 2014  240
»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지원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김상희 외 2014  102
99 4 보건의료 철학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 김문옥 2015  360
98 4 보건의료 철학 Enhancement and Obsolescence: Avoiding an ``Enhanced Rat Race'' 2015  143
97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96 4 보건의료 철학 인권개념에 기초한 간호연구윤리 교과과정/윤희상, 김경희 2015  228
9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윤리 교육에서 영화 및 역할극의 이용가능성 및 효과성 비교/정석희, 신자현 2015  548
94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생명의료분야에서 개인정보 관련 법률 간의 대립과 모순/정창록 2015  228
93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김미옥, 김경숙 2015  394
9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유형과 인권감수성/김성은 2015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