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13203 

 의대생의 미흡한 의사소통역량에 피드백을 적용한 재교육 : 임상수행능력평가시험 및 객관구조화진료시험을 바탕으로 
= Remediation with feedback for medical students who perform poor standard of communication: based on a clinical practice examination and an objective structure Clinical examination
  • 저자[authors] 이태선(Tae Seon L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9[2018]

  • 발행처[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5-59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73

  • 주제어[descriptor] 의학교육,피드백,재교육,역량,의사소통 medical education,feedback,remediation,competence,communication



초록[abstracts] [의학교육의 목표는 의대생이 바람직한 의사 역량에 갖추어 정확한 진단과 진료를 독자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시키는 것이다. 의대에서는 의사국가고시 기준에 맞춘 실기 시험을 포함하여 수시로 학생을 학습 도달 정도를 평가한다. 실기 시 험은 임상수행능력평가시험과 객관구조화진료시험을 의미하며 의대생에게 요구하는 지식, 술기, 태도 역량을 두루 검증하는 시험이다. 실기 시험은 의학교육 과정이 거의 마무리 되어 가는 시점에 시행되는 시험으로 통합적 역량을 측정한다. 평가의 실시시점이 후반부에 있기 때문에 이전 평가들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의사소통의 문제점이 새로이 발견되기도 하다. 의대는 학습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을 유급시키는 제도가 있다. 유급 제도의 목적은 의료의 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유급 제도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의료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급보다는 재교육을 통해 더 우수한 의사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환자중심진료를 표방한 진료 현장에서 여러 역량과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역량은 의대생이 갖추어야 할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부족함을 보이는 학생을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가진 교수가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을 면밀히 파악하여 학생 개개인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학생은 자신의 문제를 인지하고 기주도적으로 의학적 처치를 구조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부족한 역량을 가진 학생은 재교육을 통해 낙제와 유급이 아닌 숙련된 의사로 성장하도록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to lead medical students to equip with good physician capacity to mak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independently. The medical school regularly assess the degree of student’s achievement, including the clinical skills assessments that conform to the Korean national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Clinical skills assessments are called a clinical practice examination and an objective structure Clinical examination, and these are tests to verify the medic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required for medical students. These tests are almost conducted at the end of the course. It is also the time point at which communication problem that was not revealed in previous evaluations are newly discovered. Medical schools have a system to be held back students who fail to reach a learning goal. The purpose of the flunk system is to stabilize the quality of medical care. However, this system has several problems, so it needs to study other ways making good doctors throughout remediation rather than flunk for maintaining medical qualit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hat the professors with rich clinical experience lead the students who has the lack in their communication capacity despite those should have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various competencies on the patients-centered clinical field. Students will enable to recognize their problems and structure their own medical initiatives by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to each student. Students with insufficient competencies mat be able to opportunities to grow as skilled physicians, not failing and flunk through remediation.]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71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문미영 외 2018  74
» 4 보건의료 철학 의대생의 미흡한 의사소통역량에 피드백을 적용한 재교육 /이태선 2018  172
69 4 보건의료 철학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병원의 의사결정 과정 - '합리성에 관한 책무'의 적용 - / 홍지수 2018  110
68 4 보건의료 철학 병원환경에서 의료종사자의 건강신념이 대응성과 병원의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가치성을 매개로 / 장국현 2017  368
67 4 보건의료 철학 국내 문헌을 통한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서비스의 환자 성과 / 유진순 2018  206
6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김미숙 외 2018  97
6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 및 수행도 / 정미란 2018  189
64 4 보건의료 철학 생명(生命), 신체(身體), 정신(精神) / 정창록 2018  1644
63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81
6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와 의사면허 / 권복규 2016  93
6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를 위한 일본의 재해대책 매뉴얼 소개 / 김수진 2018  90
6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박민아 2018  637
59 4 보건의료 철학 임상병리사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 조윤란 2018  969
58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 강신익 2018  140
57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5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2018  83
55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 장난순 외 2018  117
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 송지수 2015  347
5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2013  199
5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요인 : 윤리적 가치관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 / 엄인향 2014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