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62531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 Critical Medical Humanities and Flipped Medical Education

  • 저자[authors] 강신익(Kang, Shin-I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5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7-11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환자중심 의학,서사적 전환,거꾸로 교실,존재의 미학,감식안,감수성,Patient-centered Medicine,Narrative Turn,Flipped Classroom,Esthetics of Being,Sensibility,Sensitivity

초록[abstracts] 
[의학과 의료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는 언제나 이중적이다. 냉철한 과학과 따뜻한 인간애가 공존해야만 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과학이 의학의 전면에 등장한 이후 의학은 전대미문의 황금기에 접어들었지만, 다양한 사회문화적·윤리적 스캔들에 휩싸이기도 했다. 의료인문학은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장했다. 하지만 과학이 주도하는 의료 현장에서 인문학은 과학적 의학의 치부를 가리는 역할에 머물렀다는 것이 ‘비판적’ 의료인문학자들의 주장이다.    그들은 과학과 의사가 중심이었던 의학을 인문학과 환자가 중심인 체계로 전면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질병을 일으키는 생물학적 사건도 질병을 앓는 환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재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을 서사적 전환이라 한다. 서사적 전환의 흐름은 의학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교수가 전달하는 지식이 아니라 지식과 술기를 익히며 스스로 변해가는 학생의 경험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자각에 이르게 된다. 거꾸로 교실은 이러한 반성에 입각한 전환(transformative)교육의 실천 방식이다. 추상적 지식이 아닌 구체적 현실 속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과정에서 동료 그리고 환자와 함께 스스로의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존재의 미학이다.    존재의 미학에 근거한 의학교육에서는 화가가 대상 사물 속에서 특별한 현상을 찾아내어 표현하듯이 환자의 경험 속에서 의학적으로 의미 있는 징후를 찾아내는 감식안 그리고 환자가 경험하는 고통을 목격하고 공감하는 감수성을 키워야 한다.

The public image of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 have always been two-faced. Medicine is the area where cold science and warm humanistic services must coexist. Since the introduction of science into medicine it has achieved unprecedented success, but also has been involved in various socio-cultural and ethical scandals. The medical humanities have emerged as solutions to these problems. However, critical medical humanities advocates the claim that the humanities have only served as a cover-up for the shameful disgrace of the scandals.    They argue that science and physician-centered medicine should be fully reorganized into a system revolving around the humanities and patients. The biological event that causes the disease should be reconstructed around the experience of the patient with the disease. This trend is called the narrative turn. The streams of the narrative turn also have impact on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ors are now advised to focus on the students’ experience during their courses of education. The experiences, rather than the knowledges and skills, transform the students’ selves. The flipped classroom is a form of this transformative education based on this patient-and-student-centeredness. It is the aesthetics of being that creates self-identity with peers and patient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in concrete reality rather than abstract knowledge.    In medical education based on aesthetics of being, learners should develop sensibility that detects medically meaningful characteristics among messy experiences of patients. They are like painters who catch meaningful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among messy objects. Learners should also develop sensitivity witnessing and empathizing with the suffering of patient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전환기의 보건의료  2. 반성과 비판  3. 의학교육의 철학과 실천  4. 결론 : 미학적 의학 또는 의료미학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1 4 보건의료 철학 응급구조학 전공 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 최길순 2017  169
5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영적건강 및 장기기증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 최동원 외 2017  160
4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사윤리강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 정계선 2017  159
48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 / 전윤화 외 2017  159
47 4 보건의료 철학 기본간호학 주사실습에서 발생한 찔림사고 현황, 교수의 스트레스 및 사전동의서의 필요성 / 정승교 외 2017  157
46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와의 관계 / 정지현 2019  153
45 4 보건의료 철학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생명윤리 교육이 간호신입생의 좋은 죽음인식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 조옥희 외 2018  146
44 4 보건의료 철학 The Ethics of For-profit Healthcare and Medical Tourism in South Korea/John Michael Mcquire 2016  145
43 4 보건의료 철학 Enhancement and Obsolescence: Avoiding an ``Enhanced Rat Race'' 2015  143
42 4 보건의료 철학 한국 의사들의 의학 전문직업성과 소명에 관한 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 최숙희 2012  140
»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 강신익 2018  140
40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정당한 사유에 의한 의료계약 해지권 검토 : 환자의 진료협력의무 위반을 중점으로/ 민국현 2018  135
39 4 보건의료 철학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죽음불안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은희 외 2018  132
38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보건의료기관 간호사의 교육환경 및 간호실무교육 요구도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선정 / 양인숙 외 2018  132
37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29
36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2019  126
35 4 보건의료 철학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 안정원 외 2019  125
34 4 보건의료 철학 의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의료행위의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19
33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 장난순 외 2018  118
3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의 과실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임미영 2012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