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人文科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33653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A Comparative Analysis of Philosophical Eduction and the Eduction of Ethical Codes from the Perspective of Biomedical Ethics

  • 저자[authors] 장동익 ( Chang Dong I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人文科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69No.-[2018]
  • 발행처[publisher]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23-24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철학적 의료윤리교육, 규범 습득 교육, 타인 의존적 특성, 철학적 분석, 의료윤리지침, Philosophical education, Philosophical Analysis, Education of Habitude. Dependent Features

초록[abstracts] 
[현재 의과대학의 의료윤리교육은 교육의 방향 설정에서 교육의 내용에 이르기까지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채 이루어지고 있다. 의료윤리 교육의 목적은 의과 대학생을 윤리와 관련하여 어떤 특정한 행동을 유도하거나 특정한 성품을 함양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의과대학생들에게 어떤 행동과 성품을 함양하고자 하는지 충분한 고민이 없는 상태에서 의료 윤리의 주제들을 교육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본고는 먼저 의료 윤리가 여타의 윤리와 달리 타인 의존적 특성을 가졌다는 것을 지적할 것이다. 예를 들면 낙태의 실천은 의사를 매개로 해서만 실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의료윤리 교육에서 목적과 대상에 따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목적에 합당한 대상과 교육 내용이 제대로 설정되었을 때 의료윤리 교육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셋째, 철학적인 의료윤리 교육은 대학원 이상의 학생에게, 의료윤리지침 교육은 대학생에게 바람직한 교육 내용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The education of biomedical ethics at medical schools is aimed at developing medical students into ethical characters equipped with moral qualities. This purpose may be achieved when professors know not only the character and the aim of biomedical ethics and the object of education but also their mutual relations. Therefore, I will suggest, first, that biomedical ethics, unlike other areas of ethics, has a character being dependent on other moral agents including physicians. Second, I will recommend that there are closer relations between a purpose and an object in biomedical education. Their well-coordinated relations can help effectively educate biomedical ethics to students. Third, I insist that the education of philosophical biomedicine should correspond to the graduate students, while the education of Habitude on Code of biomedical ethics should correspond to the undergraduate students. Only when these correspondences are made, educational effects will be achieved in the sector of biomedical ethic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1 4 보건의료 철학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 조혜경 외 2017  115
30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0
29 4 보건의료 철학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병원의 의사결정 과정 - '합리성에 관한 책무'의 적용 - / 홍지수 2018  110
28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3
27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지원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김상희 외 2014  102
26 4 보건의료 철학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 박은옥, 강경자 2019  100
2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현아 외 2017  97
2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김미숙 외 2018  97
23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와 의사면허 / 권복규 2016  94
2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2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를 위한 일본의 재해대책 매뉴얼 소개 / 김수진 2018  90
»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2018  83
19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18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2
17 4 보건의료 철학 의과대학에서의 의료법 교육 : 목표, 실천방향 및 접근방법 / 박지용 2017  82
16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81
15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2018  81
1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2018  81
13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기업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 정호일 외 2017  78
12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문미영 외 2018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