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89770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 저자[authors] 최선욱,전민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융합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3-10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융합형 환자안전, 안전문화, 인식, 안전관리, 종사자, Convergent Patient Safety, Safety Culture, Awareness, Safety Management, Worker


초록[abstracts] 
[최근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환자안전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의료계의 환자안전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융합되어 많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직종의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고자 시도하였다. 의료종사자 총 180명을 대상으로 부서(병동) 및 병원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 직속상관/관리자, 의사소통과 절차, 환자안전 사건보고,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환자안전 사고에 관해 평가한 결과, 부서(병동)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 영역은 보건직, 직속상관/관리자 영역은 간호직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방사선사와 물리치료사는 낙상, 임상병리사와 간호사는 검사 전·중·후 오류를 가장 위험한 환자안전 사고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환자안전 문화 인식을 높이기 위해 경영진 및 실무자는 적절한 인력 확보, 직원 간 또는 부서 간 협조 시스템 및 안전관리 활동에 필요한 동기 부여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awareness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of medical workers in various occupations working in hospitals and tried to be used as useful data. As a result of evaluating department (ward), hospital, immediate supervisor/manager, communication & procedures and frequency of accident reports, the patient safety accidents considered to be the most dangerous, technicians showed high results in the department(ward), nurses showed high results in the immediate supervisor/manager area.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physical therapists recognized falls and clinical pathologists and nurses recognized before·during·after the test as the most dangerous patient safety accidents. To rais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executives and practitioners should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practitioners can prioritize patient safety, gain and manage appropriate personnel, manage cooperative systems between workers or department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2.1 조사대상 및 기간    2.2 조사방법    2.3 자료처리 및 통계분석   3. 연구 결과    3.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2 직종별 환자안전 문화 인식 정도    3.3 보건직과 간호직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 정도    3.4 근무 중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환자안전사고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1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지정 토론문 / 김성곤 2018  36
11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 유효현 외 2017  38
109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 4 보건의료 철학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 최선욱 외 2018  58
107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 지원서비스 요구도 / 김상희 외 2015  64
10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김승현 2018  66
105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104 4 보건의료 철학 전공의 윤리 교육 / 전재범 2019  70
10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 민순 외 2016  71
102 4 보건의료 철학 장애인 건강권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 장애인 건강 주치의를 중심으로 / 임종한 2017  72
101 4 보건의료 철학 보건계열 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및 수행 자신감 : 융복합적 접근 / 이미향 외 2019  72
100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문미영 외 2018  74
99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기업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 정호일 외 2017  78
98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81
97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2018  81
9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2018  81
95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94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2
93 4 보건의료 철학 의과대학에서의 의료법 교육 : 목표, 실천방향 및 접근방법 / 박지용 2017  82
9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2018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