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 임상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98434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Advanced Practice Nurse in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 저자 : 조분선
  • 형태사항 :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신 용 순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 임상간호학과 정신보건간호전공 2018.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8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변화하는 정신보건환경에서 정신전문간호사의 업무 법제화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DACUM 직무분석 기법으로 직무를 정의하고, 임무, 작업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하여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정신전문간호사 63명을 대상으로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개발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DACUM 기법으로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정신전문간호사 직무를 정의하고, 8개 임무와 46개 작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임무에 대한 작업별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정신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임무와 작업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하고, 수행작업표를 작성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4월 18일부터 8월 2일까지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 정의는 「정신건강관리가 필요한 개인․가족․집단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상담․검사․교육을 실시하고, 임상적 전문성과 심리검사 및 뇌기능 검사 등의 각종 진단검사 자료의 통합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신간호진단을 내려, 스트레스 완화 및 관리, 약물치료와 심리치료 등의 치료적 활동과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및 권리옹호 등의 포괄적인 사례관리서비스를 지원함에 있어서, 근거기반의 숙련된 정신전문 간호행위를 수행하는 자」로 정의 되었다. 직무내용은 8개 임무와 46개 작업으로 분류되었고, 임무는 ‘대상자 개입’, ‘치료적 중재’, ‘응급상황 중재’, ‘교육 및 상담’, ‘환경과 자원관리’, ‘전문직 발전 참여’, ‘자문 및 협동’, ‘연구’로 규명되었다. 가장 중요도가 높은 임무는 ‘전문직 발전 참여’, 가장 난이도가 높은 임무는 ‘연구’, 가장 수행빈도가 높은 임무는 ‘대상자 개입’으로 나타났다. 결정계수가 가장 높은 임무는 ‘전문직 발전 참여’, 결정계수가 가장 높은 작업은 ‘실무표준 개발하기’로 상대적으로 중요한 임무와 작업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정신전문간호사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정립을 위한 토대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임상적 전문성과 근거기반의 숙련된 간호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를 개발하고, 관련의료분야로부터 인정받고, 업무 법제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정신전문간호사, DACUM 직무분석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1. 국내 정신전문간호사 제도 6
2.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와 역할 8
3. DACUM 기법을 이용한 직무분석 12
Ⅲ. 연구방법 15
1. 연구설계 15
2. 연구방법 및 절차 15
1) 1단계 : DACUM 직무분석을 통한 임무와 작업내용 도출 16
2) 2단계: 직무분석결과에 대한 타당성 검증 18
3) 3단계: 직무내용(임무와 작업)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조사 19
4) 4단계: 정신전문간호사의 수행작업표(DACUM chart) 작성 22
3. 연구의 윤리적 고려 22
Ⅳ. 연구결과 23
1.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내용 도출 23
2. 직무분석 결과에 대한 타당성 검증 25
3.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와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28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8
2)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30
3) 정신전문간호사의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31
4.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와 작업별 결정계수 35
1)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별 결정계수 35
2) 정신전문간호사의 작업별 결정계수 36
5. 근무환경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차이 40
1) 임무별 중요도 차이 40
2) 임무별 난이도 차이 41
3) 임무별 수행빈도 차이 42
6. 정신전문간호사의 수행작업표(DACUM chart) 43
Ⅴ. 논의 49
1. 정신전문간호사의 직무정의 49
2. 정신전문간호사의 임무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50
3. 정신전문간호사의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 54
4. 직무분석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논의 56
Ⅵ. 결론 및 제언 59
REFERENCE 62
ABSTRACT 67
부 록
설문지 70
연구윤리서약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1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지정 토론문 / 김성곤 2018  36
11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 유효현 외 2017  38
109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108 4 보건의료 철학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 최선욱 외 2018  58
107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 지원서비스 요구도 / 김상희 외 2015  64
10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김승현 2018  66
105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104 4 보건의료 철학 전공의 윤리 교육 / 전재범 2019  70
10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 민순 외 2016  71
102 4 보건의료 철학 장애인 건강권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 장애인 건강 주치의를 중심으로 / 임종한 2017  72
101 4 보건의료 철학 보건계열 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및 수행 자신감 : 융복합적 접근 / 이미향 외 2019  72
100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문미영 외 2018  74
99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기업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 정호일 외 2017  78
98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81
97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2018  81
9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2018  81
95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94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2
93 4 보건의료 철학 의과대학에서의 의료법 교육 : 목표, 실천방향 및 접근방법 / 박지용 2017  82
9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윤리교육에서 철학적 방법 교육과 지침 교육 비교 연구 - 의료윤리지침을 활용한 의대생 교육의 타당성 - / 장동익 2018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