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1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31184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in Korea: Magnitude of Its Challenges and Strategy for Alleviation (Ⅰ)


http://www.riss.kr/link?id=A103531184


  • 저자명  :  김동진  ,채수미  ,최지희  ,김창엽  ,김명희  ,박유경  ,손수인  ,김새롬  ,박여리  연구자관계분석
  • 학술지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 권호사항 :  Vol.2016 No.- [2016] 
  • 발행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 1-548(548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6년
  • KDC : 300
  • 주제어 : 건강형평성 제고  ,건강불평등 경험과 인식  ,건강불평등 의제화  ,의료불평등 모니터링 



  • 초록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건강수준의 전반적인 향상을 위해 건강불평등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업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중장기 연구이다. 올해는 1차 연도 연구로서, 2005년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주요 목표로 `건강형평성 제고`가 설정된 이후 아직까지도 건강불평등 문제에 대한 정책 대안이 마련되지 않은 데 대한 원인과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전략 모색의 일환으로 건강불평등에 대한 국민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건강불평등 이슈의 정책의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건강불평등의 주요 발생요인인 의료불평등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의료불평등 문제의 효과적인 모니터링 방안을 도출하였다. 2. 주요 연구 결과 가. 건강불평등 경험과 건강불평등 인식 건강불평등 경험 및 건강불평등 인식과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심층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건강불평등에 대한 심층면접 조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건강문제를 주로 개인의 문제로 인식했다. 즉, 건강을 사회적 성취에 따른 보상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러한 경향을 띤 경우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국가의 역할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불평등 인식수준은 주로 박탈수준이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는 뚜렷하지 않았다. 건강불평등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80.1%가 사회경제적 차이에 따른 건강불평등을 인식하고 있었고, 82.4%는 지역 간 건강불평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가지를 모두 인식하고 있는 사람은 전체의 69.5%로 조사되었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불평등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1 4 보건의료 철학 덕 윤리와 의학전문직업성의 관련성 / 김수정 2011  290
7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안전사고 경험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정도 / 문미영 2018  284
69 4 보건의료 철학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개발 / 정민영 2017  284
68 4 보건의료 철학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 / 전유정 외 2019  263
67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2
66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요인 : 윤리적 가치관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 / 엄인향 2014  240
6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자긍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미정 2013  239
64 4 보건의료 철학 인권개념에 기초한 간호연구윤리 교과과정/윤희상, 김경희 2015  228
63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생명의료분야에서 개인정보 관련 법률 간의 대립과 모순/정창록 2015  228
62 4 보건의료 철학 중소병원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강윤지 2019  212
61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형사범죄에 따른 면허취소처분의 쟁점과 고려사항 / 김성은 2018  211
60 4 보건의료 철학 국내 문헌을 통한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서비스의 환자 성과 / 유진순 2018  208
59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2013  199
» 4 보건의료 철학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김동진 외 2016  198
57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5
5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가 인식하는 완화의료도우미의 업무중요도 및 수행도 / 정미란 2018  189
55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활성화요인 연구 / 김민주 2017  188
54 4 보건의료 철학 의대생의 미흡한 의사소통역량에 피드백을 적용한 재교육 /이태선 2018  172
5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영성, 존엄사에 대한 태도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 / 박미선 2018  172
52 4 보건의료 철학 한국에서의 의사 자율규제 현황과 발전방안 / 김휘원, 김정아 2016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