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94284 
대학생의 공감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연관성
= The Relationship of the Empathy and Biomedical Ethics Awareness with University Student

                                  


  • 저자명

    위지희(Ji Hee We), 장백희(Back Hee Chang), 임명호(Myung Ho Lim)                                           

  • 학술지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

    Vol.17 No.4 [2017]                                                           

  • 발행처

    한국콘텐츠학회(The Korea Contents Society)                                 

  • 발행처 URL

    http://www.koreacontents.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00-509(1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공감능력의 정도를 평가하고 그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지역대학생 469명이었다. 연구 결과로서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 정...
  •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공감능력의 정도를 평가하고 그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지역대학생 469명이었다. 연구 결과로서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 정도는 2.89점이었고 그중 신생아 생명권과 태아의 생명권이 각각 3.32, 3.20점으로 가장 높았다. 대학생의 공감능력은 2.41로 중간 수준이었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은 공감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생명윤리의 하위요인 중 태아의 생명권, 인공임신 중절, 인공 수정, 태아 진단, 신생아의 생명권이 인지적 공감 및 정서적 공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공감 능력 중 정서적 공감이 생명윤리의식에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정서적 공감 중 공감적 관심 요인이 생명윤리의 하위 요인에서 태아의 생명권, 인공임신 중절, 인공수정, 태아진단, 신생아의 생명권, 안락사, 뇌사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대학생들에서 공감과 관련된 생명윤리의식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 방법
  • III. 연구결과
  • IV. 논의
  • V.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96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2018  885
195 2 생명윤리 현대사회와 생명존중사상 / 송승현 2018  463
194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위헌성 / 허완중 2018  357
193 2 생명윤리 사회행동과학연구에서의 생명윤리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이해 / 조성연 2018  120
19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 탐구 : 싱어,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 곽영근 2018  696
191 2 생명윤리 자연주기법을 통한 가정의 생명교육에 관한 고찰 /이진이 2018  59
190 2 생명윤리 공감의 생명윤리학 -연명의료결정법에서 관계단절 고독사와 전인적 돌봄을 위한 가능성 고찰- / 이은영 2018  147
189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측면에서의 『칠극』이해 - ‘해탐’(解貪)을 중심으로 - / 손보미 2018  108
188 2 생명윤리 한국 의생명연구 이해상충에 대한 기관 단위의 관리방안 연구 / 신연선 2018  103
187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186 2 생명윤리 작업치료사의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 사공봉, 이하영, 전병진 2018  258
185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 박미라, 제남주 2018  258
184 2 생명윤리 생명윤리문화에 있어서 낙태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8  232
183 2 생명윤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오승민, 김평만 2018  2976
18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인권협약에 비추어 본 ‘모를 권리’ 문제 / 최정호 2018  140
181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8
180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3
179 2 생명윤리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및 법/주호노 2017  317
» 2 생명윤리 대학생의 공감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연관성 / 위지희 2017  239
177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 현황, 과제 관리 기준과 생명윤리에 관한 고찰 / 유은주 2017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