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00171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및 법
= Bioscience, bioethics and law in Korea

                                     

  • 저자명

    주호노(Joo, Ho No)                                            

  • 학술지명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

    Vol.1 No.1 [2017]                                                         

  • 발행처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 발행처 URL

    http://www.nibp.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7-77(2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윤리와 법은 기술에 대한 인간의 행위규범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즉, 윤리와 법은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그러한 기술이 인류의 행복과 복지를 위해서 남...
  • 윤리와 법은 기술에 대한 인간의 행위규범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즉, 윤리와 법은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그러한 기술이 인류의 행복과 복지를 위해서 남용되거나 오용되지 않도록 규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논문은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생명윤리와 법적 규제의 역사를 고찰하고, 다가오는 21세기의 생명과학기술의 비약적 발달과 그에 따른 생명윤리와 법의 역할에 관하여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크게 서론, 생명과학의 발달, 생명윤리와 법적 규제 및 결어로 구성된다. 또한 생명윤리와 법적 규제는 다시 우생사상과 정책, 전쟁과 인체실험, 피험자와 임상연구, 첨단의료와 생명윤리 및 21세기의 생명공학과 생명윤리로 구성된다. 나아가 이 중에서 첨담의료와 생명윤리에서는 낙태, 장기이식과 뇌사, 체외수정 및 안락사와 존엄사의 기술과 생명윤리와 법적 규제의 문제에 관하여 고찰한다. 뿐만 아니라 21세기의 생명공학과 생명윤리에 있어서는 게놈분석과 유전자조작기술, 배조작과 배복제기술 및 뇌고차기능해석 기술과 생명윤리와 법적 규제의 문제에 관하여 검토한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생명윤리와 법의 역할에 관하여 인간의 존엄과 인류의 복지를 위하여 생명공학 또는 생명과학의 발달을 통제하여 이러한 기술로 하여금 인간의 인간에 의한 인간을 위한 기술이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 초록 (Abstract)
    • Ethics and law are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echnology as these can be norms of human behaviors against technology. In other words, ethics and law need to be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o that such technologies are n...
  • Ethics and law are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echnology as these can be norms of human behaviors against technology. In other words, ethics and law need to be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o that such technologies are not abused or misused for mankind’s happiness and welfare. In this respect,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bioethics and legal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with resulting presentation of the direction of bioethics and the role of law in the coming 21st century. This research focuses largely on the development of bioscience, bioethics and legal regulations according to bioscience and conclusions. Together with bioethics and legal regulations according to bioscience this paper also contemplates eugenics and policies, human experiments during the war, subjects and clinical researches, advanced medicine and bioethics, and biotechnologies and bioethics in the 21st century. For the advanced medicine and bioethics this paper furthermore examines the problems of bioethics and legal regulations in the technologies of abortion, organ transplantation and brain death, in vitro fertilization, and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Then, this paper reflects on the problems of bioethics and legal regulations in the technologies of genome analysis and genetic manipulation, embryo manipulation and embryo reproduction, and researches in brain function and learning for the biotechnologies and bioethics in the 21st century. Finally,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ies and biosciences is to be controlled for the sake of human dignity and well-being with respect to the role of bioethics and the law. These technologies are hence to be means of the human beings, by the human beings, for the human beings.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생명과학의 발달
  • Ⅲ. 생명윤리와 법적 규제
  • Ⅳ. 결어
  • 참고문헌                                                                                        


원문 : 20170101-3.주호노(최종본).pd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36 2 생명윤리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 / 허윤정, 권복규, 이옥진, 안덕선 2013  306
135 2 생명윤리 생명(관리)권력과 생명정치 / 양운덕 2011  303
13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2
133 2 생명윤리 비과학계 위원의 역할 및 교육에 대한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위원의 인식도 조사 /권정현 2015  300
132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상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정문식 2007  292
131 2 생명윤리 [연구논단 1]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의 분석- 선언의 윤리적, 법적 의미 고찰 및 한국의 생명윤리 규정 검토/권오용 2007  292
13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7
129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과제 생명의학윤리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조사 및 제언 / 강영희, 이상미, 권광일, 김은영, 허우성 2014  287
128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2014  284
127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77
126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125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124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2
123 2 생명윤리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갈등 경험 / 김문옥 2017  270
122 2 생명윤리 인간의 존엄과 생명가치에 대한 법적 판단의 문제 / 이재명 2017  268
121 2 생명윤리 HEAVEN 프로젝트의 윤리적 문제 / 전방욱 2019  268
120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윤리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원주 2008  261
119 2 생명윤리 게임 이론을 통한 생명윤리법 입법과정 분석 / 현승효 외 2015  260
118 2 생명윤리 작업치료사의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 사공봉, 이하영, 전병진 2018  258
11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 박미라, 제남주 2018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