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14328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An Ontological Knowledge on Life and Life’s Politics of Aesthetics


   http://www.riss.kr/link?id=A100214328

       

  • 저자명

    김대식(Kim, Dei-Seek)                                                                                   

  • 학술지명

    철학탐구               

  • 권호사항

    Vol.36 No.- [2014]                                                       

  • 발행처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77-206(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초록 (Abstract)

  • 지금 국가는 개별적인 인간의 생명을 돌보지 못하고, 자본은 그것을 수단화, 상품화하는 무사유(thoughlessness)에 대해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생명이 부유하고 있는 이 시대에 새로운 ...
  • 지금 국가는 개별적인 인간의 생명을 돌보지 못하고, 자본은 그것을 수단화, 상품화하는 무사유(thoughlessness)에 대해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생명이 부유하고 있는 이 시대에 새로운 생명 인식을 가능케 할 생명철학이 요청되고 있다. 자고로 생명은 모든 존재가 갖고 있는 그 고유성, 그것 자체가 되는 본래성이다. 이러한 생명이라는 텍스트는 콘텍스트 속에서 매순간 의미가 되고 가치를 획득할 수가 있다. 하지만 콘텍스트와의 관계에서 사건이 되는 생명의 텍스트가 자칫 패러디가 될 수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생명의 자기자신성(Selbtheit/Selfness)이 왜곡된 도덕에 의해서 사멸성(mortality)으로 전락하는 일은 생명을 가변적인 콘텍스트와 일치시키고 유일회성을 패러디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는 생명을 보존하고 관리해야 하는 선의 명령을 부여받은 존재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생명의 본성을 반성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자기의 생명과 타자의 생명이 윤리적 숙고를 통해서 논해져야 하고, 나아가 심층적인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서 생명을 깊이 있게 다루도록 해야 한다. 또한 그 무엇보다도 생명은 인간의 보편적 형식으로서 국가에 의해서도 유린될 수 없는 심미적(aesthetic) 경험 지평 속에 있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
  • 2. 생명의 본질과 생명철학의 요청
  • 3. 생명의 콘텍스트와 생명존재론
  • 4. 생명의 해석학적 이해와 생명인문학
  • 5. 생명미학적 정치의 가능성
  • 6. 나오는 말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6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72
5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7
5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53 2 생명윤리 문학교육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 이은민 2014  387
52 2 생명윤리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원칙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적 재해석 / 유수정 2016  394
51 2 생명윤리 공공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 :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사례 / 김상현 2012  396
50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임미혜, 박창승 2014  404
49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4
48 2 생명윤리 한스 요나스의 생명철학과 책임의 윤리 : 생명공학 시대의 윤리적 요청에 대한 응답 / 최소인 2006  404
47 2 생명윤리 동물보호를 위한 윤리적 근거와 방안 / 김대군 2000  413
46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1
45 2 생명윤리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와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원리 고찰/손보미 2016  421
44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25
43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고찰/김현철,김은애 2015  428
42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 이하얀 2008  437
41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2014  452
40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39 2 생명윤리 현대사회와 생명존중사상 / 송승현 2018  463
38 2 생명윤리 생명과학 입장에서 본 생명윤리 / 성혜, 남명진 2009  477
37 2 생명윤리 우리나라 기관이해상충 관리규정 현황조사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최병인, 지호섭 2015  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