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76158 

제목 우리나라 기관이해상충 관리규정 현황조사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영문명 A Study on Institutional Conflict of Interest Policy for Clinical Research : A National Survey of Korean Academic Medical Centers
저자 최병인(Choe, Byung In),지호섭(Ji, Ho Seob)
학술지명 인격주의 생명윤리
권호사항 Vol.5No.2[2015]
발행처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9-120
발행년도 2015
KDC 190
주제어 Institutional Conflict of Interest,연구참여자보호,임상연구,Conflict of Interest,Bioethics,Clinical Trial Study,Protecting Human Subject,생명윤리,기관이해상충,이해상충




초록 

이해상충(Conflict of Interest, COI)이라 함은 근본적으로 추구해야하는 의무가 부차적인 이해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 기관도 구성원들을 통한 다양한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이해상충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기관차원에서의 이해상충 상황을 기관이해상충(Institutional Conflict of Interest, ICOI)이라 할 것이다. 임상시험에 관한 국제기준에서는 이해상충의 관리방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규정은 연구 참여자에게 어떻게 이해상충 정보를 공개해야 하는지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미국의 2006년 조사결과에 따르면 79개 중 59개 의과대학이 기관이 해상충에 관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으며, 미국대학협회, 미국의과대학협회, 미국의학원에서는 기관이해상충 관리를 위한 권고안을 내놓고 있다. 한국의 임상연구를 수행하는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4개 병원 중 기관차원의 이해상충에 대해 재정적 이해에 관한 구체적인 기술 까지를 포함하는 내부규정 및 지침을 보유하고 있는 병원은 10개인 것으로 확인되어 아직까지 기관이해상충에 관한 인식과 규정 및 지침의 마련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미국의 권고안과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한 기관이해상충 관리제도의 정책적 개선을 '상황의 공개', '이해상충심의위원회의 설치', '기관이해상충에 관한 교육을 통한 인식개선' 등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관이해상충의 정의
2. 기관이해상충 사례
3. 임상연구에서 이해상충에 관한 국제기준
4. 임상연구에서 이해상충 관련 규정 현황
5. 기관이해상충 관리제도 개선방향
Ⅲ.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96 2 생명윤리 생명공학과 윤리 / 김명균 외 2017  74
195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2015  76
194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2017  76
193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192 2 생명윤리 유전자혁명, 생명의 지속가능성 그리고 책임윤리 / 김문정 2016  82
191 2 생명윤리 이익동등고려의 원칙의 수용 가능성 / 이기훈 2016  84
190 2 생명윤리 관찰연구의 윤리 / 유상호 2010  86
189 2 생명윤리 죽음 규정에 관한 논란과 그 인간학적 함의 = The Dispute on Defining Death and Its Anthropological Meaning/허민 2016  97
188 2 생명윤리 생명을 둘러싼 헌법적 문제 (상) / 김학성 2014  98
187 2 생명윤리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상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 이영규 2017  98
186 2 생명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를 통한 자율규제의 현황과 전망 / 백수진 , 김현철 2017  98
185 2 생명윤리 중국 인공 지능 기술의 인권 윤리 연구 / SONG YANYU 2019  98
184 2 생명윤리 윤리심포지엄 : 전공의 윤리교육의 피드백과 평가 / 권복규 2015  99
183 2 생명윤리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형석 2017  99
182 2 생명윤리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교육 / 양재섭, 구미정 2009  100
181 2 생명윤리 메르스를 통해 생각해 본 건강의 의미/정재우 2015  102
180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 거버넌스 / 신미이 외 2016  102
179 2 생명윤리 [학술자료] 기회로서의 치매 - 우리는 이 상황(도전)을 어떻게 인지할 것이며 하나의 기회로서 삼을 수 있을까/라이머 그로네마이어, 베레나 로테, 이경의 2016  103
178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의 연구적 이용 시 동의 면제 요건 고찰 / 차승현, 하대청 2017  103
177 2 생명윤리 한국 의생명연구 이해상충에 대한 기관 단위의 관리방안 연구 / 신연선 2018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