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ey=3424419 


[KISS 한국학술정보 : 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와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원리 고찰



손보미 ( Bo Mee Son )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9권1호 (2016), pp.87-97




한국어 초록

  •    이 글은 우리사회의 의료적 결정에 개입할 수 있는 윤리 원칙과 원리가 지향하는 근원적 가치와 이의 실천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biomedical ethics), 유학관점의유학 생명윤리(confucian bioethics)와 기독교ㆍ가톨릭 관점의 인격주의 생명윤리(personalist bioethics) 를 선정하여 세 체계가 제안하는 원칙과 중심 원리를 고찰하여, 의료적 결정에서 목적하는 근원적 가치를 추출함과 동시에 근원적 가치가 목적하는 바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은 무엇인지 규명해 보았다. 먼저,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가 제시하는 네 원칙은 인권존중과 인간존엄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자율성 존중``, ``선행``, ``악행금지``, ``정의``를 통하여 우리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인권존중과 인간존엄에 있음을, 이 원칙이 태동한 역사적 배경인 벨몬트 보고서 등에서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유학 생명윤리 체계의 구성 원리는 [타인에 대한]의무로서 덕과 덕의 실천이었다. 타인에 대한 의무로서 덕을인지하고, 덕을 실천하는 행위는 사회 내에서 인간존엄과 인권존중 행위의 기초를 이룰 수 있다. 세 번째, 인격주의 생명윤리 체계에서 제일 원리는 신체적 생명존중의 원리이다. 이 원리는 의료적 결정에서 존재론적 인격지위를 가지고, 영혼과 신체의 단일체인 인간에게 적용되는 제일의 원리이다. 이상고찰한 바를 종합하면 세 체계가 용어의 사용과 표현방식에서는 상이하나, 의료윤리 및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제시하는 원칙과 원리가 목적하는 근원적 가치는 인간존엄과 인권존중으로 수렴할 수 있다. 세체계가 지향하는 근원적 가치가 이러하다면, 상이한 용어와 개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실천적 적용에대한 논의 이전에, 우리가 가장 우선적으로 실천해야하는 것은 개인의 존재형태인 신체적 생명을 보호하는 실천 행위임은 자명해진다.


  • 키워드

  •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유학윤리, 인격주의, 의료적 결정, biomedical ethics, confucian bioethics, personalist bioethics, confucian ethics, personalism, medical decision-makin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6 2 생명윤리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형석 2017  100
    15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바이오헬스 규제 / 유명희 외 2017  70
    154 2 생명윤리 초등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한 파일럿조사 / 박주현 외 2017  52
    153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6
    » 2 생명윤리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와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원리 고찰/손보미 2016  421
    151 2 생명윤리 첨단융복합의료제품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임상시험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미지 2016  231
    150 2 생명윤리 죽음 규정에 관한 논란과 그 인간학적 함의 = The Dispute on Defining Death and Its Anthropological Meaning/허민 2016  98
    149 2 생명윤리 착상 전 유전자 진단 및 산전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The Bioethical Consideration on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and Prenatal Diagnosis/조혜영 2016  186
    148 2 생명윤리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 접근법 고찰/유수정 2016  798
    147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1
    146 2 생명윤리 [학술자료] 기회로서의 치매 - 우리는 이 상황(도전)을 어떻게 인지할 것이며 하나의 기회로서 삼을 수 있을까/라이머 그로네마이어, 베레나 로테, 이경의 2016  103
    145 2 생명윤리 [학술자료]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전망 안에서 방법의 문제/아드리아노 페씨나, 정재우 2016  123
    144 2 생명윤리 생명-중심적 상담에 대한 고찰(考察)/김태수 2016  171
    143 2 생명윤리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안선민, 박경일 2016  323
    142 2 생명윤리 태아의 헌법상 지위=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fetus / 고봉진 2016  334
    141 2 생명윤리 생명의 윤리와 생명 공학 논쟁 / 김영건 2016  644
    140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77
    139 2 생명윤리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 권혁남 2016  649
    138 2 생명윤리 일 대학생의 성의식과 생명윤리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권수빈 외 2016  249
    137 2 생명윤리 ';4원칙주의 생명의료 윤리'와 칸트 도덕철학=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Kant`s Moral Philosophy / 김종국 2016  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