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제16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5 




생명윤리 제16권 제2호, 2015.12, 31-47 (17 pages)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

- 비첨과 췰드리스, 그리고 거트의 공통도덕 논쟁을 중심으로

Searching for a Theory of Common Morality for Biomedical Ethics: Focusing on the Debate Between Beauchamp and Childress and Gert

목광수, 류재한


  • 발행기관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5


  • 한국어 초록
    최근 들어 생명의료윤리 영역에서 공통도덕과 관련된 논쟁이 활발하다. 대표적으로 탐 비첨(Tom 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Childress), 그리고 버나드 거트(Bernard Gert)는 자신들의 생명의료윤리학을 동일하게 공통도덕의 토대 위에서 구성하면서도, 공통도덕에 대한 정당화뿐만 아니라 내용에 있어서도 논쟁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논쟁 과정에서 양 진영의 차이가 무엇이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등에 대한 논의가 없어 논쟁이 생산적인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양 진영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을 통해,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논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비첨과 췰드리스(이하 BC)와 거트 등과 같은 생명의료윤리학자들이 최근 들어 공통도덕 논의에 집중하고 있는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BC와 거트 논쟁분석을 통해 공통도덕 논의에서 이루어지는 논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재구성되고 수정된 공통도덕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재구성되고 수정된 공통도덕 논의는 BC의 공통도덕에 대한 기본 입장과 틀을 유지하면서도 이론적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거트의 논의를 수용한 것이다. 이렇게 모색된 공통도덕 논의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합당한 도덕적 불일치의 범위를 설정하여 생명의료윤리학의 이론적 체계화를 위한 토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글
    2. 생명의료윤리학의 공통도덕과 다원주의
    3. BC와 거트의 공통도덕 논쟁에 대한 비판적 분석
    4.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논의
    5. 나오는 글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6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6
    135 2 생명윤리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칙 외 / 생명윤리 편집부 2015  68
    13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6
    133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2
    132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131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130 2 생명윤리 윤리심포지엄 : 전공의 윤리교육의 피드백과 평가 / 권복규 2015  99
    129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2015  76
    128 2 생명윤리 관찰연구의 윤리 / 유상호 2010  86
    127 2 생명윤리 윤리문제연구원 설립에 의한 인문학적 소양함양을 위한 사회교육 활성화 방안 / 황경식, 이정전, 구영모, 유호종 2009  122
    126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125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8
    124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고찰/김현철,김은애 2015  428
    »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122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6
    121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상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정문식 2007  292
    120 2 생명윤리 [연구논단 1]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의 분석- 선언의 윤리적, 법적 의미 고찰 및 한국의 생명윤리 규정 검토/권오용 2007  292
    119 2 생명윤리 개정 생명윤리법의 체계ㆍ내용 그리고 문제점/조홍석 2012  190
    118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에 미치는 효과/정은영, 박지경 2015  325
    117 2 생명윤리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와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원리 고찰/손보미 2016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