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과학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06217 

초등학생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hanging students' science research ethical views


  • 저자 : 이하얀
  • 형태사항 : viii, 154p. : 삽도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 p.130-133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과학교육전공 2008.8
  • KDC : 407.3 4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초록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과학 연구 윤리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과 과학에 대한 동기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학생들이 나타내는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의 변화 유형과 특징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 연구 윤리 교육 교수-학습 자료를 4주 동안 8차시에 걸쳐 적용하였다. 연구 전후에 나타나는 교수-학습 자료의 효과를 정량적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이 보이는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의 구체적 변화 과정 및 그 특징을 정성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집중관찰그룹으로 선정된 5명 학생의 모든 학습 과정을 오디오 및 비디오 녹화를 통해 구체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2대의 비디오를 이용하여 전체 수업 과정을 녹화하고, 1대의 녹음기로 녹음하였으며, 모든 비디오·녹음 자료를 전사하여 수업내용을 분석하였다. 반구조화 된 면담과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검사 등을 통해 학생들이 나타내는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유형과 그 변화 과정 및 특징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과학 연구 윤리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는 1. 어느 실험실 개구리의 고백<동물 실험>, 2. 스너피와 돌리의 대화<동물 복제>, 3. 나와 똑같은 사람이 만들어진다면?<인간 복제>, 4. 식물에 대한 나의 태도<식물 실험>, 5. 함께 살아가는 세상<생태계, 공동체>, 6. 환경 개발인가? 환경 보존인가?<환경 개발 보호>, 7. 학교 실험실 폐수 관리<오염물질, 폐기물>, 8.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과학자의 윤리>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동기와 태도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다.
    셋째,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한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나타내는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유형과 그 변화과정 및 특징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I은 과학 기술을 폭넓게 사용함으로써 사회·과학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인간의 유용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인간·기술 중심주의'를 지향하는 가치관, 유형III는 환경 파괴가 따른다면 기술 발전을 멈춰야 한다고 생각하며 가치의 내적인 부분을 추구하는 '가치·생태 중심주의'가치관, 유형II는 이 두 가지 유형이 교차되는 '인간·기술 중심주의 + 가치·생태 중심주의'가치관을 지향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적용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의도하였던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의 대부분이 토론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반복적인 쓰기 활동이 많았으며, 직접적인 실험 활동과는 분리된 형태로 개발되어 적용되었던 교수-학습 자료의 성격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는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오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과학 연구 윤리의 가치관 조사 결과 인간·기술 중심주의에 해당하는 유형I과 가치·생태 중심주의에 해당하는 유형III의 가치관을 지향했던 학생들은 과학 연구 윤리 수업 후 그 두 가지 유형이 교차되는 유형II의 가치관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눈에 띄게 많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적용했던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적용이 학생들에게 과학 기술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함께 고려하도록 도와주었으며, 연구 윤리의 제반 문제에 대한 고려 없이는 과학의 발전이 있을 수 없음을 고려하게 되는 학생들의 가치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한 수업은 주로 유형I과 유형III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던 초등학생들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을 수업 후에 유형II로 변화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학의 양면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생각이 바뀔 수 있도록 자료가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가 학교에서 과학 연구 윤리 교육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적용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동기에는 큰 변화를 주지 못했다. 이의 개선을 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고, 실험과 같은 실제적인 과학 활동과 밀접히 연관시키며, 다양한 자료와 수업 방법을 적용하는 과학 연구 윤리 수업을 개발·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뿐만 아니라 과학에 대한 태도, 흥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과정과 과학 교수-학습 자료 사이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한 교육 및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과학 연구 윤리 교육은 교과와 독립된 재량 활동의 형태로 운영되어, 교수-학습 자료 실행의 효과와 수업 진행 면에서 볼 때 시간 부족, 학생들의 동기 유발 부족 등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 연구 윤리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교과 속에서 과학 연구 윤리적 요소가 포함되도록 수업을 구성·운영할 필요가 있다. 즉, 교과 수업 시간 동안에 과학 연구 윤리의 중요한 이슈를 생각해보고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속에 과학 연구 윤리의 주제가 자연스럽게 녹아들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구 윤리의 제반 문제를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교사의 보다 효과적인 지도 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76 2 생명윤리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부모교육 교재 분석 / 정명애 2013  103
    175 2 생명윤리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모색 / 백지연 2017  104
    174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2019  105
    173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172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2014  106
    171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17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169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측면에서의 『칠극』이해 - ‘해탐’(解貪)을 중심으로 - / 손보미 2018  108
    168 2 생명윤리 동물의 실험 및 과학적 이용에 관한 윤리적 검토 = The Ethics of the Use of Animals for Testing and Scientific Research/박소영 2015  109
    167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신수경 2019  112
    166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3
    165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검체사용 연구에 대한 법적 윤리적 적용 / 장윤정 외 2015  114
    164 2 생명윤리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학과 공동의사결정 / 이은영 2017  114
    163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162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161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근원과 방향/곤잘로 미란다 2015  115
    160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간호연구의 동향 / 최미선 2018  120
    159 2 생명윤리 사회행동과학연구에서의 생명윤리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이해 / 조성연 2018  120
    158 2 생명윤리 윤리문제연구원 설립에 의한 인문학적 소양함양을 위한 사회교육 활성화 방안 / 황경식, 이정전, 구영모, 유호종 2009  122
    157 2 생명윤리 왕양명과 생명윤리와 전인적 인간관 / 양선진 2018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