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연구 Vol.105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37402 

행위지침 제시에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적 방법론 모색: 비췀과 췰드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Searching for a Moral Reasoning for Action-Guiding in the Biomedical Ethics Focusing on Beauchamp and Childress`s strategy




초록 ( Abstract )

  • 1979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2012년 7판까지 개정된 톰 비췀(Tom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Childress)가 공저한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은 생명의료윤리학 분야...
  • 1979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2012년 7판까지 개정된 톰 비췀(Tom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Childress)가 공저한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은 생명의료윤리학 분야의 대표적인 저서로 간주된다. 1990년 논문에서 버나드 거트(Bernard Gert)와 대너 클라우저(DannerClouser)는 비췀과 췰드리스의 논의를 원칙주의(principlism)로 규정하고 이들의 4원칙 논의가 구체적인 의료 현장에서 행위지침(action-guiding)을 제시하는 데 부적합하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비판은 비췀과 췰드리스 논의에 치명적 비판이 될수 있다. 왜냐하면 비췀과 췰드리스를 포함한 많은 학자들이 생명의료윤리학을행위지침 층위에서 이해하여 생명의료윤리학의 목적과 역할은 구체적인 의료현장에서 실질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는 유용성과 실천성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생각을 광범위하게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비췀과 췰드리스는 1994년 개정판(4판)에서 자신들의 행위지침 논의로 구체화(specification)와 결합한 비중주기(balancing and weighing) 전략을 제시한다. 이와동시에 이들은 생명의료윤리학에서 현장 윤리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결의론(casuistry)을 비판하여 자신들의 논의가 행위지침을 제시하기에 우월하다는 입장을 강화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비췀과 췰드리스의 구체화와 결합한 비중주기 전략이 구체적인 의료 현장에서 행위지침을 제시하기에 효과적인지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현장에서의 행위지침을 제시하는 데 적합한 논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비췀과 췰드리스의 전략이 최종적인 행위지침을 결정하기 위한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데 취약하다고 비판하고, 이들의구체화와 결합한 비중주기 전략이 결의론을 통해 도덕적 행위자에 대한 인간관설명과 교육 등의 내용을 강화하여 구체적인 기준 제시 방안을 모색한다면 효과적인 행위지침 방식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렇게 보완된 논의, 즉 행위지침을 제시하는 데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 논의는 구체화와 결합한결의론적 추론이라고 주장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0
    35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34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2014  452
    33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과제 생명의학윤리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조사 및 제언 / 강영희, 이상미, 권광일, 김은영, 허우성 2014  287
    32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3
    31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3
    30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29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28 2 생명윤리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이필연 2013  346
    27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26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2013  586
    25 2 생명윤리 고등학교 생명윤리 교육의 연구 / 김현진 2004  337
    2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7
    23 2 생명윤리 첨단생명의료분야에 있어서 인폼드 컨센트 법리의 전개와 윤리위원회의 역할 / 이정현 2008  353
    22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5
    21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4
    20 2 생명윤리 영화를 감상한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생명윤리 관점 및 의사결정 유형 분석 / 김민정 2014  805
    19 2 생명윤리 문학교육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 이은민 2014  387
    18 2 생명윤리 해부실험 전에 실시한 생명윤리교육이 예비과학교사들의 생명에 대한 인식에 주는 효과 / 채승애 2014  774
    » 2 생명윤리 행위지침 제시에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적 방법론 모색: 비췀과 췰드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목광수 2014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