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74398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 교육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개 4년제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실험군 45명, 대조군 63명이다. 실험집단에는 10개 영역의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강의가 16주 동안 제공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3년 8월 26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1주차와 16주차에 사전-사후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생명의료윤리의식이 3.07점에서 3.31점으로 향상되었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태아생명권 3.20점에서 3.55점, 인공임신중절 3.08점에서 3.69점, 인공수정 2.99점에서 3.57점, 태아진단 3.10점에서 3.45점, 신생아권리 3.39점에서 3.55점, 장기이식 3.26점에서 3.53점으로 향상되었다(P<.001). 반면 안락사, 뇌사, 인간생명공학 영역의 점수는 변화가 없었다(p>.05). 영화를 이용한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유발, 그리고 교육만족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영화콘텐츠가 강의주제와 부합된다면 간호교육에 다양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using movies. This study selected the first-year 45 students and 63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t two 4-year-course nursing college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n, this study provide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lecture on biomedical ethics for 16 weeks using the movie related to the ethical issues covering 10 areas. Data collection was done for 5 days from August 26, 2013 until December 5, 2013, and conducted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on the 1st week session and 16th session after explaining there search purpose and getting a written agreement from the subjec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Statistics 18, it was found that students’ average point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improved to 3.31 from 3.07; additionally, in the analysis of the data by sub-area, the point in artificial abortion improved to 3.69 from 3.08; artificial insemination from 2.99 to 3.57; fetal diagnosis from 3.10 to 3.45; a newborn’s right to life from 3.39 to 3.55 and organ transplant from 3.26 to 3.53, respectively(P<.001). On the contrary,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point of the mercy-killing, brain death, and human biotechnology areas, respectively(p>.05). Conclusively, movie-aided education could be diversely used for nursing education provided movie contents should be in accord with a lecture subject in a way that can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and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생명의료윤리의식, 생명의료윤리교육, 영화, 간호대학생, Biomedical Ethics Awareness, Biomedical Ethics Education, Movies, Nursing Students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7439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9 2 생명윤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오승민, 김평만 2018  2967
68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0
67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66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0
65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0
64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0
»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6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 성기헌 2019  935
61 2 생명윤리 ';4원칙주의 생명의료 윤리'와 칸트 도덕철학=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Kant`s Moral Philosophy / 김종국 2016  766
60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59
59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
5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2013  693
57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4
56 2 생명윤리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 권혁남 2016  649
55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6
5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3
53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3
52 2 생명윤리 생명과학 입장에서 본 생명윤리 / 성혜, 남명진 2009  477
51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50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2014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