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학과영상 제14권 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218084 
영어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essay is to survey the biopolitics represented in Deranged (or Yeongasi), which is often called the first Korean contagion film. A plague or pandemic contagion is an interesting critical topic since, as a God’s scourge, it has been regarded as an expression of the divine sovereignty; however, it has been also a useful rhetorical device to represent the dysfunction or failure of governmentality. In either case, biocalyptical visions of pandemic destruction always evoke not only the issue of ‘body’ but also that of ‘body politic.’ In that sense, the biopolitical narrative of Deranged is endlessly fascinating, since it allegorically associates a widely disseminating parasitical contagion with transnationally developing capitalism in the time of globalization and thus derived extreme social mobility. By reprocessing various socially antagonistic discourses and anxieties circulating in reality, what the movie demonstrates is that the transnational capital has now become the new sovereignty, which invades human life (bios) as such, and it controls human wills, desires, and even affects, just as the deathly parasite-nematomorpha (Yeongasi), the title motif of the film-functions. Thus Yeongasi is a very well devised political allegory: it labors to articulate the problem of omnipresent multi or transnational capital that even reigns over the constitutional sovereignty of a nation state and consumes human lives and affects. The film thus offers a “cognitive map” of the transnationally developing exploitive relations in the era of multinational capitalism.



목차

Ⅰ. ‘바이오칼립스’(Biocalypse) 그리고 ‘생명정치’(Biopolitics)
Ⅱ. 괴담 그리고 적대
Ⅲ. 포스트휴먼의 신체 혹은 좀비
Ⅳ. 국민국가, 주권, 그리고 예외상태
Ⅴ. 인지적 지도작성
인용자료
Abstract
                                         

상세서지
  • 발행기관 : 문학과영상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21808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56 2 생명윤리 윤리 심포지엄_각종 의무기록 작성에 있어서 알아야 할 의료윤리 : 각종 증명서 발급의 윤리적 문제 / 권복규 2013  232
155 2 생명윤리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 / 허윤정, 권복규, 이옥진, 안덕선 2013  306
154 2 생명윤리 기획종설 : 전문직 윤리로서의 의료윤리-의사다움이란 / 권복규 2012  318
153 2 생명윤리 생명(관리)권력과 생명정치 / 양운덕 2011  303
»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72
151 2 생명윤리 공공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 :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사례 / 김상현 2012  396
150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5
149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148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9
147 2 생명윤리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인식 / 심형화 2013  227
146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임미혜, 박창승 2014  404
145 2 생명윤리 행위지침 제시에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적 방법론 모색: 비췀과 췰드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목광수 2014  343
144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143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14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4
141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3
140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과제 생명의학윤리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조사 및 제언 / 강영희, 이상미, 권광일, 김은영, 허우성 2014  287
139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2014  452
138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137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관련 고교 과제연구의 융합교육적 접근 /윤영돈 외 2015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