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 )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105971 

* 연구원 및 도서관내에서 무료열람가능한 자료임.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 How to Do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n Biopolitics?

 

 

 

  • 저자명 : 김환석
  • 학술지명 : 경제와 사회(Economy and society )
  • 권호사항 : Vol.- No.97 [2013]
  • 발행처 : 비판사회학회(구, 한국산업사회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criso.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3-38(26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3년
  • KDC : 305.00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생명권력 ,생명정치 ,통치성 ,생명사회성 ,생물학적 시민권 ,생명자본 ,생의료화 ,biopower ,biopolitics ,governmentality ,biosociality ,biological citizenship ,biocapital ,biomedicalization
  •  

    초록

     

    21세기가 되면서 서구에서는 인간의 건강과 생명 자체가 가장 중요한 정치적 쟁점과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서구의 사회과학자들은 푸코의 ‘생명권력’과 ‘생명정치’ 그리고 ‘통치성’ 개념들을 활용하여 생명에 관한 21세기의 정치를 분석하려는 시도를 활발히 전개해왔다. 이 글은 푸코 이래 그러한 시도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앞으로 한국의 생명정치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를 위해서 이들로부터 유용한 개념과 이론적 통찰 그리고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시도한다. 먼저 생명정치의 연구에서 선구적으로 기여를 한 푸코의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수정하여 거대담론으로 발전시킨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이론과 하트 및 네그리의 ‘제국’과 ‘다중’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다음에 이런 거대담론과는 달리 생명정치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추구 해온 대표적 사회과학 이론들로서 네 가지를 검토하였는데, 그것은 래비노우의 ‘생명사회성’ 이론, 로즈의 ‘생명 자체의 정치’ 이론, 순데르 라잔의 ‘생명자본’ 이론, 그리고 클라크의 ‘생의료화’ 이론이다. 이들은 모두 인간게놈프로젝트로 대표되는 생명과학의 발전이 21세기 생명정치의 전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생명정치를 생태정치나 기술정치 등과 함께 비인간 사물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사회물질적인 것의 정치’의 일부로 간주할 것을 제안하며, 한국 등 비서구 나라들의 생명정치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촉구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목차

     

  • 1. 문제의 제기
  • 2. 선구적 기여: 미셸 푸코
  • 3. 거대 담론의 대두
  • 4. 경험적 이론의 전개
  • 5. 평가와 대안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16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215 2 생명윤리 인체 유래물 사용 연구와 생명윤리법 / 김용진 2018  56
    21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2013  693
    213 2 생명윤리 연명의료에 대한 윤리적 논쟁 / 홍준표 2018  345
    21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 최경석 2009  566
    211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0
    » 2 생명윤리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어떻게 할 것인가? /김환석 2013  363
    209 2 생명윤리 윤리 심포지엄_각종 의무기록 작성에 있어서 알아야 할 의료윤리 : 각종 증명서 발급의 윤리적 문제 / 권복규 2013  232
    208 2 생명윤리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 / 허윤정, 권복규, 이옥진, 안덕선 2013  306
    207 2 생명윤리 기획종설 : 전문직 윤리로서의 의료윤리-의사다움이란 / 권복규 2012  318
    206 2 생명윤리 생명(관리)권력과 생명정치 / 양운덕 2011  303
    205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72
    204 2 생명윤리 공공 생명윤리와 전문성의 정치 :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사례 / 김상현 2012  396
    203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2
    202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201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200 2 생명윤리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인식 / 심형화 2013  226
    199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임미혜, 박창승 2014  404
    198 2 생명윤리 행위지침 제시에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적 방법론 모색: 비췀과 췰드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목광수 2014  342
    197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