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69167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Addressing the Need For Bioethics and Informed Consent in the Sports Science


  • 저자[authors] 김동규 ( Dong Kyu Kim ),김현수 ( Hyun Sue Ki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2No.4[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체육철학회(구 한국스포츠무용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5-11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주제어[descriptor] 스포츠과학,생명윤리,연구윤리,실험실연구,뉘른베르크 강령,헬싱키 선언,sports science,bioethics,research ethics,laboratory study,Nuremberg Code,Declaration of Helsink



국문 초록[abstracts]

스포츠과학은 그 동안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엄격한 제재 없이 연구의 자율성에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는 국내 연구관련 기관 전반에 연구윤리에 대한 감시나 통제가 정착되어 있지 않았고, 스포츠과학자들도 그들의 연구가 생명윤리를 거론할 수준이 아니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었기 때문이다. 황우석 사건 이후 한국체육학회는 관련 규정을 마련하는 한편으로 위원회를 구성하면서 스포츠과학 분야의 연구윤리 문제는 새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체육학회의 연구윤리진실성검증위원회는 그 명칭부터 문제를 안고 있었다. 특히 생명윤리와 관련한 문제를 관련규정에 누락함으로써 국내 체육학계는 생명윤리 문제를 간과한 것이다. 이제 국내스포츠과학의 연구도 진실성에 국한된 연구윤리만 적용할 것이 아니라, 생명윤리를 선도적으로 준수해야 할 책임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과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구윤리 문제 중 생명윤리 문제를 중심으로 그에 대한 쟁점과 실행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국내 스포츠과학계는 생명윤리 규정의 재정립, 스포츠과학실험실 문화의 변화, 스포츠과학자의 윤리의식 제고 등 보다 책임성이 강화된 연구문화로 발전해야 함이 지적되었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focus of sports science has been set on autonomy of research without strict restrictions in terms of bioethics. This is because domestic research institutions did not have any menas to monitor or control research ethics, and sports scientists had an overflowing awareness that their studies have not reached the level to discuss bioethics. After the Hwang Woo Suk scandal,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prepared for relevant regulations and organized a committee to take on a new aspect on the problem of research ethics in sports science. However, Research Ethics and Integrity Committee of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had a problem in its name. Especially,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of Korea neglected the problem of bioethics by omitting problems related to bioethics in the relevant regulations. Domestic studies on sports science are also required to comply with life ethics instead of simply applying research ethics which limit their scope to integrity.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duce issues and implementation tasks on the problem of bioethics among problems of research ethics in sports sci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ield of sports science in Korea was found to be in need for more responsible research culture based on reorganization of regulation on bioethics, change in sports science laboratory culture, and enhancement of ethics in sports scientist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36 2 생명윤리 생명-중심적 상담에 대한 고찰(考察)/김태수 2016  171
135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1
134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6
133 2 생명윤리 동물의 권리문제와 불교의 생명윤리 / 허남결 2011  177
132 2 생명윤리 종교와 자살할 권리에 대한 태도가 존엄사에 미치는 영향 / 조광덕 2017  178
131 2 생명윤리 착상 전 유전자 진단 및 산전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The Bioethical Consideration on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and Prenatal Diagnosis/조혜영 2016  186
130 2 생명윤리 존 롤즈의 정의론과 생태여성신학적 정의 연구 : ‘공정으로서의 정의’와 ‘생명 중심의 정의’ / 윤영숙 2019  188
129 2 생명윤리 개정 생명윤리법의 체계ㆍ내용 그리고 문제점/조홍석 2012  190
128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과 비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송효숙, 임소희 2019  192
12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서사(narrative)의 역할과 의의 / 황임경 2011  193
126 2 생명윤리 모자보건법 제14조에 대한 헌법적 고찰과 제언 : 인간 생명의 가치를 중심으로/이경의 2014  203
125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관련 고교 과제연구의 융합교육적 접근 /윤영돈 외 2015  209
12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6
123 2 생명윤리 생명권에 관한 한국과 중국의 비교법적 고찰 / 정금지 2010  219
122 2 생명윤리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빅 데이터와 임상적 활용 / 고윤희 2017  222
121 2 생명윤리 동물권 옹호론과 영장류 실험에 대한 윤리적 검토 / 추정완 외 2007  225
120 2 생명윤리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인식 / 심형화 2013  226
119 2 생명윤리 첨단융복합의료제품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임상시험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미지 2016  229
118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각유형 / 조준아 외 2015  229
117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