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89043 
과학기술, 생명윤리, 생명문화의 연계성 고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cientific Technology, Bioethics and Culture of Life: Starting from the 'Culture of Death' diagnosed by Pope Joannes PaulusⅡ

  • 저자[authors] 황승희(Hwang, Seung Heui)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격주의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No.1[2012]
  • 발행처[publisher]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9-127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2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190
  • 주제어[descriptor] 죽음의 문화,과학기술,윤리,문화,생명윤리,생명문화
  • culture of death,ethics,culture,bioethics,culture of life

초록[abstracts] 
[본문의 내용은 제1장 죽음의 문화의 현황, 제2장 과학기술이 윤리의 대상인 이유, 제3장 생명윤리 필요성과 제4장 생명문화 필요성에 대하여 구성되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우리사회에 팽배해 있는 생명파괴와 이로 인한 인간존엄성의 훼손과 위협을 가하는 행위를 정당화하고, 권리로 까지 확대하는 하느님 의식이 실종된 문화 사조를 죽음의 문화라 진단하였다. 이러한 죽음의 문화의 주요한 요인은 윤리가 배재된 과학기술, 윤리적 본성을 잃어버린 인간, 윤리가 사라진 사회문화에 있음을 진단하였다.  이와 같이 현 시대상황은 과학기술, 윤리, 문화 이 세 요소들은 각각 분리 되어 우리의 삶과 연계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삶으로 함께 하고 있으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죽음의 문화에서 생명의 문화로 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과학기술에 따른, 새로운 윤리, 새로운 문화의 필요성이 요청된다. 즉, 생명윤리, 생명문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e of death' which the Pope Joannes PaulusⅡ mentioned in Evangelium Vitae.  It will investigate why he diagnose this culture as 'culture of death', what are those pathological phenomena, and what are the relationship among scientific technology, ethics, and culture. It consists of four chapters. First chapter articulates reason why this culture is referred as 'culture of death'. Second chapter articulates the reason why new innovative technology requires a new kind of ethics. Third and Fourth chapters explore the need and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new ethics and new culture.  Nowadays destroying life and violating human dignity through abortion and physician assisted suicide is frequently being carried out in the name of autonomy and justified as the right to choose. Pope Joannes PaulusⅡ diagnosed this trend of our culture as 'culture of death'. The culture of death has been caused by the execution of innovative scientific technology with the absence of ethical understanding. Human beings have forgotten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thics in our everyday life. There has been strong evidence that scientific technology, ethics and culture are closely interwoven to each others.  As the conclusion, this study seeks to defend for the establishment of bioethics and promote culture of life against culture of death.]

목차[Table of content] 
서론  제1장 죽음의 문화 현황  제2장 과학기술이 윤리의 대상인 이유  제3장 생명윤리가 필요한 이유  제4장 생명문화가 필요한 이유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6 2 생명윤리 규제에서 소통으로: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변화에 관한 제언 / 이일학 2017  41
215 2 생명윤리 A Portrait of Nanomedicine and Its Bioethical Implications 2012  46
214 2 생명윤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 김명혜 2006  48
213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관한 법규범력 확보와 그 한계 / 황만성 2011  49
212 2 생명윤리 인간생명의 보호가 법정책의 기반이어야 / 정재우 2018  50
211 2 생명윤리 인생의 시작과 전인적 이해 / 정재우 2017  51
210 2 생명윤리 문선명선생의 사상으로 본 생명윤리 연구 / 강명호 2017  51
209 2 생명윤리 초등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한 파일럿조사 / 박주현 외 2017  52
208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 개발 / 최예진 2017  53
207 2 생명윤리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과제와 개선방향 / 신미이 2017  55
206 2 생명윤리 인체 유래물 사용 연구와 생명윤리법 / 김용진 2018  56
205 2 생명윤리 자연주기법을 통한 가정의 생명교육에 관한 고찰 /이진이 2018  59
204 2 생명윤리 고등학생의 비판적 글쓰기에서 제시문에 대한 분석 유도가 생명 윤리 관점에 미치는 영향 / 하자복 2017  61
203 2 생명윤리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 하정옥 2010  65
202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 현황, 과제 관리 기준과 생명윤리에 관한 고찰 / 유은주 2017  66
201 2 생명윤리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칙 외 / 생명윤리 편집부 2015  68
200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2013  68
19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바이오헬스 규제 / 유명희 외 2017  70
198 2 생명윤리 배아 헌법소원 판결문의 부당함에 대한 논증 / 윤성혜 2017  71
197 2 생명윤리 바이오뱅크와 포괄적 동의 / 김문정 2012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