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411404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 Critical reflections on moral education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and bio-medical ethics education

  • 저자[authors] : 김상돈(Kim Sang D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7 No.2[2006]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3-7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6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70
  • 주제어[descriptor] 생명의료윤리,생명의료윤리교육,도덕교육,중등도덕과,7차 교육과정,8차 교육과정,교과서,bio-medical,ethics,education,7th curriculum,8th curriculum,text book


초록[abstracts] 

[황우석 사건은 우리 사회에 많은 교훈을 남겼다. 생명 공학자와 의학자의 연구 윤리도 중요하지만 일반 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가 그에 못지않게 심각하게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다. 왜냐하면 논문조작과 연구 과정에서 있었던 지속적이고 거대한 기만의 배후에는 일반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무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사건의 재발을 막는 데 일반시민들의 성숙된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일반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 관련 가치와 덕목의 신장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예비 시민들인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철저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행 7차 교육과정과 시안이 개발된 8차 교육과정에서의 생명의료윤리교육은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교과서 서술에서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교육과정 내용체계에서 다루는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양적, 질적으로 아직 미흡한 수준이며, 교과서 수술에 있어서 생명의료윤리를 직접 가르치기보다 우회적으로 관련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This paper is on moral education of bio-medical ethics, special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Whang's scandal gave us a lot of lessons. Above all we learned that a rigid ethical standard should govern bio-medical researches. But Research Ethics may be not the essence of Whang's scandal, for many people of us still wait for junior Whang who willingly observes the rule about an egg donation procedure etc.. Therefore they do not think Whang's research itself has moral problems. Except Research Ethics, their bio-medical ethical consciousness has not changed. At this point something is wrong. We must rethink our moral beliefs about bio-medical situations such as life, death, pain and happiness.  Our history of moral debates on bio-medical issues is not long, moreover it's density and extent too is not enough. From now we need to reorganize festina lente the program for our bio-medical consciousness' maturity.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a moral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about modern bio-medical issues is proposed. Our present level of it is not high. Particularly the bio-medical ethics education of a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does not get out of traditional moral principle about bio-medical issues, and then does not touch the core of modern bio-medical ethical issues. Some problem in curriculum and text books are needed to resolv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제7차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 Ⅳ. 제8차 중등 도덕과의 생명의료윤리교육(시안) Ⅳ.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96 2 생명윤리 생명공학과 윤리 / 김명균 외 2017  74
195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2015  76
194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2017  76
193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192 2 생명윤리 유전자혁명, 생명의 지속가능성 그리고 책임윤리 / 김문정 2016  82
191 2 생명윤리 이익동등고려의 원칙의 수용 가능성 / 이기훈 2016  84
190 2 생명윤리 관찰연구의 윤리 / 유상호 2010  86
189 2 생명윤리 죽음 규정에 관한 논란과 그 인간학적 함의 = The Dispute on Defining Death and Its Anthropological Meaning/허민 2016  97
188 2 생명윤리 생명을 둘러싼 헌법적 문제 (상) / 김학성 2014  98
187 2 생명윤리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상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 이영규 2017  98
186 2 생명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를 통한 자율규제의 현황과 전망 / 백수진 , 김현철 2017  98
185 2 생명윤리 중국 인공 지능 기술의 인권 윤리 연구 / SONG YANYU 2019  98
184 2 생명윤리 윤리심포지엄 : 전공의 윤리교육의 피드백과 평가 / 권복규 2015  99
183 2 생명윤리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형석 2017  99
182 2 생명윤리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교육 / 양재섭, 구미정 2009  100
181 2 생명윤리 메르스를 통해 생각해 본 건강의 의미/정재우 2015  102
180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 거버넌스 / 신미이 외 2016  102
179 2 생명윤리 [학술자료] 기회로서의 치매 - 우리는 이 상황(도전)을 어떻게 인지할 것이며 하나의 기회로서 삼을 수 있을까/라이머 그로네마이어, 베레나 로테, 이경의 2016  103
178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의 연구적 이용 시 동의 면제 요건 고찰 / 차승현, 하대청 2017  103
177 2 생명윤리 한국 의생명연구 이해상충에 대한 기관 단위의 관리방안 연구 / 신연선 2018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