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9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411356 


생명과학 입장에서 본 생명윤리

= Bioethics viewed from Biological Scientists



  • 저자[authors] 성혜(SUNG Hye),남명진(NAM Myeong J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0No.1[2009]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7-7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9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70

  • 주제어[descriptor] 생명과학,생명윤리,유전자검사,유전자변형생물체,난자채취,동물실험,biological science,bioethics,gene test,gene-modified organism,collection of eggs,animal experiment


초록[abstracts] 

[최근 배아줄기세포가 난치병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으로 제시됨으로써 생명과학은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생명과학은 대단한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과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대다수가 줄기세포라는 전문용어를 알고 있을 정도다. 생명과학이 새 시대를 주도할 과학 분야 중 하나라는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사회 곳곳에서 아직 생명과학이 다루는 여러 가지 주제들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생명과학의 주요 쟁점이 되는 현안들을 10가지로 간략하게 추려 소개하고자 한다. 발생과정 중어디부터가 생명이고 어디부터가 생명이 아닌지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관점들을 제시하며, 생명과학의 핵심이 되는 인간난자를 채취하는 과정으로 널리 사용되는 과배란 유도와 그 부작용에 대해서도 살펴 본다. 착상전 유전자검사나 맞춤아기를 통해서는 유전자변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장기이식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이종간 교잡과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 유전자 변형생물체도 현대 생명과학이 안고 있는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임상실험에서 주의할 점과 연구에 임하는 과학자로서 갖추어야 할 정직성이라는 덕목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생명과학은 인간의 건강증진과 수명연장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만큼 연구가 계속되면 인류의 복지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나 윤리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생명과학은 이미 세계적 흐름이 되었다. 21세기의 성장 동력이자 인류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과 개인유전정보의 오남용과 배아에 대한 우생학적 유전자 변형이라는 윤리문제 사이에서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충분한 토론을 통해 발전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Recently, the research in embryonic stem cell which has been suggested as a new treatment for some incurable diseases leads to fast development in biological science. In Korea, biological science has been a special attention. People who don't have any professional knowledge know the scientific term, “stem cell”. It is clear that life science is one of the major disciplines in the future. However, there are controversies on ethical aspects of life science.  Hence, we would like to raise major issues in the field of recent biological science. We would suggest different aspects about the time point life starts. We also consider the induction of superovulation and its side effects because human egg is the key of biological science and superovulation is the way of gathering ova. Genetic engineering is associated with genetic testing and designer baby. Chimera for organ transplantation, animal experiments, an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re urgent problems life science face. We would introduce regulations for clinical trials and research honesty, moral character which should be built inside the scientists' mind.  The major purposes of biological science are promotion of human health. The study of biological science would contribute to human welfare; however, ethical problems are not to be avoided. The tendency of the world science is toward life science. Searching for the appropriate answers to growth power of 21 century i.e. contribution to the human health promotion, and misuse of personal genetic information, eugenic modification to embryos is really important. It is the matter of the highest priority that we should try to find solutions through discussions, which would lead us to the ethical point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서론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9 2 생명윤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오승민, 김평만 2018  2967
68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0
67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66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0
65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0
64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0
63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6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 성기헌 2019  935
61 2 생명윤리 ';4원칙주의 생명의료 윤리'와 칸트 도덕철학=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Kant`s Moral Philosophy / 김종국 2016  766
60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59
59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
5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2013  693
57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4
56 2 생명윤리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 권혁남 2016  649
55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6
5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3
53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3
» 2 생명윤리 생명과학 입장에서 본 생명윤리 / 성혜, 남명진 2009  477
51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50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2014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