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84186 
자연주기법을 통한 가정의 생명교육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Life education in a Family based on the Natural Family Planning

  • 저자[authors] 이진이(Lee Jin Yi)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격주의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No.2[2018]
  • 발행처[publisher]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5-72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190
  • 주제어[descriptor] Life Education,Natural Family Planning,Family,Personalism Education,Chastity


초록[abstract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meanings and nature of a family in three aspects. First, as a community of love, a family is a place for love and friendship to reach the accordance in the intimate union of personality and conduct and to give a couple as a gift. A family becomes a place for service to life. This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in the sense of a family. The practice of married couples who warmly welcome and love their children as the fruits of marriage realizes the meaning of family as the one who serves life. Third, a family becomes the basis of education. The child education is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married couples, so they should perform the child education. The education at home needs to be the moral education about taking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acts, the value education about respecting the value of themselves and others, the education of love, and furthermore, the life education. The meaning and spirituality of the Natural Family Planning include the dialogue and cooperation, and the chastity and love. The dialogue and cooperation allow married couples to obtain the energy to overcome complex and diverse crises happening in family life, and also help them to achieve the humane meaning within a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chastity and love help married couples become a present to each other within the devotion, waiting, patience, and respect. The educational elements of the Natural Family Planning could be divided into modeling and storytelling. Modeling means that parents observe their own cycle to become a role model of knowing their own value, show the mutual respect become a role model of chastity and practice the openness to life to become a role model of responsibility. Storytelling could lead the introspection and practice of self-value discovery, mutual respect, and responsibility for life by giving parents experiences to their children. Helping the development of morality and personality, the Natural Family Planning could be an educational tool for life education at home. It is important that the life education at home should be performed in each period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step-by-step characteristics from young children to adults. In particular, the concept for each period for providing the life education to children by using the Natural Family Planning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early childhood, it is necessary to implant the identity in children, and also to help them grow the mind for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s. In the adolescence, it is necessary to help adolescents form their identity, understand the chastity, and learn about the responsibility. In the youth, it is necessary to help young people practice the life of chastity, understand the meaning of marriage, prepare for it and understand/distinguish the vocation of celibacy. It is the duty of parents to practice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family and to make a family as a cradle of love and a place for the education of human love by activating life education at home.]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본론 1. 가정의 의미와 본성 2. 가정의 의미실현을 위한 자연주기법 3. 자연주기법을 활용한 시기별 가정생명교육에 관한 제언 Ⅲ.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6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215 2 생명윤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오승민, 김평만 2018  2969
214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2018  2247
213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2
212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211 2 생명윤리 한국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오희순 2016  1327
210 2 생명윤리 미국 터스키기 매독연구의 생명윤리 논란과 그 영향/서이종 2009  1186
209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0
208 2 생명윤리 현행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내 생명윤리 관련 주제 분석과 고등학생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 김현우 2001  1143
207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0
206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1
205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20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 성기헌 2019  938
203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2018  885
202 2 생명윤리 영화를 감상한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생명윤리 관점 및 의사결정 유형 분석 / 김민정 2014  805
201 2 생명윤리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 접근법 고찰/유수정 2016  798
200 2 생명윤리 해부실험 전에 실시한 생명윤리교육이 예비과학교사들의 생명에 대한 인식에 주는 효과 / 채승애 2014  774
199 2 생명윤리 ';4원칙주의 생명의료 윤리'와 칸트 도덕철학=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Kant`s Moral Philosophy / 김종국 2016  766
198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59
197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