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92831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Bio-Politique in America, 1890s-1930s

  • 저자[authors] 김호연(Ho-Yeon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6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서양문화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3-15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USA,Bio-Politique,Eugenics,Power,Politics,미국,생명정치,우생학,권력,정치


초록[abstracts] 
[이 연구의 목적은 19세기말 20세기 전반 미국에서 전개된 생명정치(bio-politique)를 우생학(eugenics)을 중심으로 고찰해봄으로써 과학 지식과 권력의 상관관계 및 국가 통치 수단으로서의 생의학적 조치가 갖는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새롭고 강한 국가 만들기를 추진하면서 우생학이라는 과학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부적격자 제거와 적격자 향상의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미국에서 생명정치가 작동하는 역사적 맥락을 그려보고자 한다. 이에 2장에서는 생명정치와 푸코(M. Foucault)의 인식, 그리고 미국 우생학이 맺는 상관관계를 살피고, 3장과 4장에서는 미국에서 우생학이 구현해낸 생명정치의 모습을 죽어야 하는 생명과 살아야 하는 생명을 다루는 방식을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는 국가의 질병·보건 정책을 통한 인구집단 관리에 내재된 함의를 밝혀주는데, 우생학이 얼마나 중요한 사안인지를 부각시키면서 우생학史연구 의제를 확장하고, 국가에 의한 다양한 생의학적 조치 실행을 비판적 시선으로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역사는 성찰의 현재적 원리이다. 이 연구가 지금-여기의 과학기술문명을 폭넓게 성찰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생명정치, 푸코, 그리고 미국 우생학  Ⅲ. 죽어야 하는 생명, 부적격자는 제거하라!  Ⅳ. 살아야 하는 생명, 적격자는 더 건강하게!  Ⅴ.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76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2018  2246
175 2 생명윤리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형석 2017  99
174 2 생명윤리 연명의료에 대한 윤리적 논쟁 / 홍준표 2018  345
173 2 생명윤리 인간의 존엄과 생명가치에 대한 법적 판단의 문제 / 이재명 2017  268
172 2 생명윤리 인체 유래물 사용 연구와 생명윤리법 / 김용진 2018  56
171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 거버넌스 / 신미이 외 2016  102
170 2 생명윤리 바이오 뱅크의 윤리적 쟁점 / 이상욱 2012  241
169 2 생명윤리 바이오뱅크와 포괄적 동의 / 김문정 2012  73
168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순희 외 2017  134
167 2 생명윤리 태아의 권리능력 재논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 유지흥 2014  151
166 2 생명윤리 유전자편집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생명윤리법의 재검토 / 김현섭 2017  634
165 2 생명윤리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 하정옥 2010  65
164 2 생명윤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 김명혜 2006  48
163 2 생명윤리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통해 고찰한 존엄한 삶의 의미 / 최연수 2018  123
»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161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간호연구의 동향 / 최미선 2018  120
160 2 생명윤리 인간생명의 보호가 법정책의 기반이어야 / 정재우 2018  50
159 2 생명윤리 생명공학과 윤리 / 김명균 외 2017  74
158 2 생명윤리 동물권 옹호론과 영장류 실험에 대한 윤리적 검토 / 추정완 외 2007  225
157 2 생명윤리 동물보호를 위한 윤리적 근거와 방안 / 김대군 2000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