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64428 
생명의료윤리에서 서사(narrative)의 역할과 의의

= The Role of Narrative in Biomedical Ethics

  • 저자[authors] 황임경(Hwang Im-Ky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2No.1[2011]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1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70

  • 주제어[descriptor] 서사,내러티브,서사 의료윤리,생명의료윤리,서사 중심 의학,의학과 문학,Narrative,Narrative Biomedical Ethics,Biomedical Ethics,Narrative Based Medicine,Literature and Medicine


초록[abstracts] 
[인간은 이야기를 하는 동물이다. 서사는 현실 또는 허구의 사건들과 상황들을 하나의 시간 연속을 통해 표현하는 것으로, 인간 삶의 근본 요소 중 하나이다. 서사는 삶을 살아가면서 인간이 겪게 되는 경험을 이해하고 재구성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해준다.  최근 인문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서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학자들은 인간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드러내는 개별 서사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런 학문적 영향 때문에 생명의료윤리 분야에서도 서사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생명의료윤리의 지배적인 담론인 원칙주의가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구체적인 맥락을 추상적으로 재단하여 판단을 내림으로써 환자들의 고통이나 의료현장의 실제적인 갈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서사 의료윤리의 이론적, 실천적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서사와 생명의료윤리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있는데, 이것을 크게 ‘보완으로서의 서사’, ‘방법으로서의 서사’, ‘형식으로서의 서사’, ‘토대로서의 서사’, ‘대체로서의 서사’ 로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서사적 평형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서사 의료윤리가 생명의료윤리의 한 방법론으로 유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사는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 행위자의 의도, 감정 등을 알려줌으로써 윤리 원칙과 규칙을 현실에 적용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원칙과 규칙들은 삶의 서사적 맥락에서만 생겨날 수 있고 의의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서사는 윤리 원칙의 토대가 된다. 그리고 좋은 서사를 통해 우리는 원칙뿐만 아니라 좋은 삶에 대한 태도, 품성 등을 기를 수도 있다. 결국 서사 의료윤리를 통해 우리는 더욱더 깊고 풍부한 생명의료윤리의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 서사 의료윤리의 의의와 한계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6 2 생명윤리 개정 생명윤리법의 체계ㆍ내용 그리고 문제점/조홍석 2012  190
55 2 생명윤리 A Portrait of Nanomedicine and Its Bioethical Implications 2012  46
54 2 생명윤리 생명공학분야 특허출원 심사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진영진 2012  233
53 2 생명윤리 바이오뱅크와 포괄적 동의 / 김문정 2012  73
52 2 생명윤리 바이오 뱅크의 윤리적 쟁점 / 이상욱 2012  244
51 2 생명윤리 과학기술, 생명윤리, 생명문화의 연계성 고찰 / 황승희 2012  140
50 2 생명윤리 생명(관리)권력과 생명정치 / 양운덕 2011  303
49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4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관한 법규범력 확보와 그 한계 / 황만성 2011  49
»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서사(narrative)의 역할과 의의 / 황임경 2011  193
46 2 생명윤리 동물권의 문제와 상생의 생명윤리 / 박찬구 2011  159
45 2 생명윤리 동물의 권리문제와 불교의 생명윤리 / 허남결 2011  177
44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5
43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42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5
41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
40 2 생명윤리 관찰연구의 윤리 / 유상호 2010  86
39 2 생명윤리 생명권에 관한 한국과 중국의 비교법적 고찰 / 정금지 2010  219
38 2 생명윤리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 하정옥 2010  65
37 2 생명윤리 생명의 시작과 형법적 보호의 한계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상 배아에 관한 규정의 검토 / 이상용 2010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