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통일사상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038917 

문선명선생의 사상으로 본 생명윤리 연구


  • 저자[authors] : 강명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통일사상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13No.-[2017]
  • 발행처[publisher] : 통일사상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33-169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생명윤리, 문선명선생의 사상, 인간관, 낙태, 인공수정, Bioethics, Rev. Sun Myung Moon's Thought, Perspective on Human Beings, Abortion, Artificial Insemination



초록[abstracts]

[오늘날 과학기술과 의학의 발달은 생명윤리・생명의료윤리에 관한 관심을 제고 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각 종교에서는 교리를 바탕으로 생명윤리를 다양하게 제시 하고 있다. 이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생명윤리가 되는 문선명선생의 인간 생명 에 대한 윤리적 관점을 살펴본다. 특히 오늘날 생명윤리의 핵심인 낙태에서부터 자 살, 안락사, 유전자 조작과 복제, 인공수정 등에 대해 살펴본다. 생명윤리는 인간관 에 의해 결정된다. 보수주의 입장과 자유주의 입장, 인격주의 입장과 비인격주의 입장 등으로 대별된다. 문선명선생은 인간을 하나님의 사랑의 상대자, 자녀로서 신 적 가치를 지닌 존엄한 존재이며, 여타 생명체와 차별되는 영인체를 지닌 존재로서 만물의 영장이며, 부모의 생식세포가 하나로 수정된 때부터 부모와 동등한 가치를 지닌 존재로 본다. 이에 낙태나 자살, 안락사는 원칙적으로 불허된다. 또한 부부의 생식세포에 의한 자녀 잉태를 원칙으로 하고, 부부가 아닌 타인의 생식세포를 통한 인공수정이나 체외수정은 불허하고 입양을 권장한다. 문선명선생의 생명윤리는 부 부의 사랑으로 생식세포가 수정된 때부터 존엄한 인간 존재라는 인간관에서 출발 된다.

Today,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ique and medical science raises interest in bioethics and biomedical ethics. In this regard, each religion presents a variety of bioethics based on doctrine. I will examine the life of human beings from the ethical viewpoint of Rev. Sun Myung Moon as the bioethics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n particular, I will look at abortion, which is the core of bioethics today, from suicide, euthanasia, genetic manipulation and reproduc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ioethics is determined by the perspective on human beings. There are conservative and liberal position, personality and impersonal position in the perspective on human beings. Rev. Sun Myung Moon is the dignified person with divine values as a partner and child of God's love, the lord of all creation as being a spirit person who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living things, and since the reproductive cells of a parent have been modified into one, It has same value with parents. Therefore Abortion, suicide, and euthanasia are not allowed in principle. In addition, pregnancy by the gonad cell of the couple is the principle, but it is not permitted the pregnancy by artificial insemination or in vitro fertilization through the germ cell of a non-married person. In case an infertile couple are recommended adoption. Rev. Sun Myung Moon's thought of bioethics start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human beings are dignified human beings since the reproductive cells were modified by the love of the coupl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현대의 생명윤리   Ⅲ. 문선명선생의 사상으로 본 생명윤리   Ⅳ.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 2 생명윤리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 접근법 고찰/유수정 2016  798
15 2 생명윤리 영화를 감상한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생명윤리 관점 및 의사결정 유형 분석 / 김민정 2014  805
14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2018  884
13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 성기헌 2019  935
12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11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0
10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0
9 2 생명윤리 현행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내 생명윤리 관련 주제 분석과 고등학생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 김현우 2001  1142
8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0
7 2 생명윤리 미국 터스키기 매독연구의 생명윤리 논란과 그 영향/서이종 2009  1186
6 2 생명윤리 한국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오희순 2016  1323
5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2
4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0
3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2018  2246
2 2 생명윤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오승민, 김평만 2018  2967
1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