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05129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Ethical Issues and Moral Educational Meaning of Human Enhancement

                                    

  • 저자명

    김동창 ( Kim Dong-chang )                                                

  • 학술지명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

    Vol.44 No.- [2017]                                                            

  • 발행처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5-58(3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인간유전체연구를 통해 유전자의 비밀이 밝혀지면서 21세기 생명공학기술은 인간 유전자의 결함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태아의 유전자 검사는 물론 착상전 배아의 ...
  • 인간유전체연구를 통해 유전자의 비밀이 밝혀지면서 21세기 생명공학기술은 인간 유전자의 결함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태아의 유전자 검사는 물론 착상전 배아의 유전자 이상 유무를 진단하여 유전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전자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 간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유전자 수준의 인위적인 개입을 통한 인간 향상은 20세기 후반 생명윤리의 쟁점이 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의 여러 국가들은 예상되는 유전병으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치료 차원의 유전적 개입만을 허용하는 수준에서 잠정적인 합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신경과학의 발달은 신경계 수준의 개입을 통한 향상의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다시 인간 향상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리탈린, 프로작, 모다피닐과 같은 신경약물이 정상인의 인지, 정서 기능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신경 약물을 통한 인간 향상의 문제가 새로운 윤리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생명공학, 신경과학의 방법을 통한 인간의 향상의 의미와 윤리적 쟁점을 규명하고, 도덕교육의 차원에서 이러한 인간 향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다룰 것인지에 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초록 (Abstract)
    • As the genetic secrets have been revealed through studies on human genome, bio-technology of the 21st century has reached a level to be able to diagnose and treat defects of human genes. It can in advance check genetic diseases by diagnosing fetal gen...
  • As the genetic secrets have been revealed through studies on human genome, bio-technology of the 21st century has reached a level to be able to diagnose and treat defects of human genes. It can in advance check genetic diseases by diagnosing fetal gene abnormality before implantation as well as its genetic testing. Furthermore, human enhancement through artificial intervention of the gene level also became an issue of bioethics in the late 21st century as studies on correlations between genes an huma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have continued to be accumulated. Severa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well as Korea have agreed on just allowing genetic intervention of the treatment level that keeping people`s health from expected genetic diseas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has again caused issues of human enhancement as it has recently showed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through intervention of the nervous system level. A matter of human enhancement through neurological treatment drugs such as Ritalin, Prozac, Modafinil has emerged as a new ethical issue as they turned out to make a contribution to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of normal persons. Especially, the results of the recent studies on moral neuroscience have determined that human moral judgement relates with nervous systems related to emotion. And these have developed into the argument that neurological treatment drugs can improve morality. The meaning of human enhancement and their ethical issues through bio-technology and neuroscience methods needs to be investigated and revealed and discussions on understanding and treating human enhancement at the moral education level are need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66 1 윤리학 실질적 자기결정권 실현수단인 후견계약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박득배 2017  141
165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4
164 1 윤리학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시민권의 이론적 적용 가능성 고찰 / 신유리 외 2017  148
163 1 윤리학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김수정 2017  145
162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161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160 1 윤리학 성공적인 지능정보행정 도입을 위한 정부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대성 외 2017  37
159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6
158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책임윤리 연구 : 전통 윤리학과 유토피아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 김항철 2017  204
157 1 윤리학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7  36
156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
155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154 1 윤리학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양선진 2016  202
153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2014  415
152 1 윤리학 제도적 위험과 규범적 자율성 / 신동일 2017  79
» 1 윤리학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김동창 2017  253
150 1 윤리학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 공병혜 2017  179
149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2017  575
148 1 윤리학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신유리, 김정석 2015  207
147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