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公法硏究(Public La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22979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Human dignity of disabled people and the Constitution.-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judicial taking on the new rights enabled by the movement of the disabled

                             

  • 저자명

    윤수정(YUN Soo Jeong)                                                          

  • 학술지명

    公法硏究(Public Law)                           

  • 권호사항

    Vol.44 No.3 [2016]                                                         

  • 발행처

    한국공법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pl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6(26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6년

  • KDC

    360                                                                                      

  • 초록 (Abstract)
    • 근대 헌법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에 근거한 ‘자기결정권’으로 이해되었던 것에 반해 현대 헌법에서 ‘인간의 존엄성’은 개인의 자유와 더불어 ‘인간다운 생활...
  • 근대 헌법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에 근거한 ‘자기결정권’으로 이해되었던 것에 반해 현대 헌법에서 ‘인간의 존엄성’은 개인의 자유와 더불어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로 대표되는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함으로써 실현된다. 2000년대 적극적인 장애인운동은 장애인들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기존의 권리 개념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동권’, ‘돌봄을 받을 권리’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권리들을 고안해 냈다. 다시 말해, 장애인운동 결과 접근권의 하위범주에 속하던 ‘이동권’은 개별권리로써 확정되었고, 사적 영역에서 타인에 의한 돌봄을 받는 행위는 ‘돌봄을 받을 권리’로 변환되어 ‘활동보조인제도’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들은 결국 입법화되는 데 대부분 성공하였으며, 이로써 장애인운동의 1차적 과정은 종료되었다. 이처럼 법체계 내부로 진입한 새로운 권리들은 사법부와 상호작용하면서 자유권과 사회권으로 이분화 된 기존의 기본권 체계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헌법재판소 결정을 비롯한 주요 판례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심사기준을 고수하고 있다. 즉 기본적으로 장애인이 가지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개념을 비장애인의 그것과 동일시하고 비장애인 중심의 관점에서 장애인을 바라보면서 그 간극의 문제는 ‘복지’의 문제로 해결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리구조 하에서 장애인의 권리는 복지의 문제로 축소되고, 그러한 복지는 ‘사회적 기본권’이라는 미명 아래 국가의 배려를 통해서 만 실현가능한 규정이 되고 만다. 이렇듯 법제도로 들어간 새로운 권리들은 입법과 집행의 과정에서 기존의 관행과 심사기준에 의해 그 의미가 제한되고, 장애인운동 역시 급격히 힘을 잃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생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생성되는 새롭게 고안된 권리들을 법체계 내부로 끌어들이는 노력들을 통해서 전통적인 사법판단의 원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쳐야 하며, 장애인정책에 대한 심사기준의 변화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장애인운동과 장애인정책, 그리고 문제의 제기
  • Ⅱ. 장애인관련 헌법조문에 대한 이해
  • Ⅲ. 장애인운동이 새롭게 고안한 권리들
  • Ⅳ. 고안된 권리와 기존 사법체계의 상호작용
  • Ⅴ. 고안된 권리들의 사법체계 수용의 한계
  • Ⅵ. 맺으며 - 사법적 수용가능성의 모색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6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1
125 1 윤리학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 석승혜 2016  242
124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123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122 1 윤리학 독일의 성년후견인 제도와 자기결정권 / 조성혜 2016  297
» 1 윤리학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윤수정 2016  217
120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119 1 윤리학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양선진 2016  202
118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박웅신 2016  190
117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고찰 / 한명수 2016  130
116 1 윤리학 수술 로봇의 윤리적 쟁점 / 송선영 외 2016  858
115 1 윤리학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안민영 2016  1319
114 1 윤리학 한국 여성의 혼전임신에 관한 연구 / 김송희 2016  646
113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112 1 윤리학 생명윤리 성찰을 위한 인간 몸의 인간학적 의미 고찰 / 정재우 2015  213
111 1 윤리학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 노현기 2015  250
110 1 윤리학 일본 생명윤리법제의 현황 : 가톨릭적 관점에서 / 정종휴 2015  152
109 1 윤리학 미국법의 현대적 과제 ;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 김민우, 류화신 2015  432
108 1 윤리학 법률전문가로서 변호과오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김남길 2015  740
107 1 윤리학 수형자의 치료받을 권리에 대한 법적·의료적 현황과 문제점 / 이석배 2015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