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저스티스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48554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Partially Invalidity In Violation of the Mandatory Rule of Law - Subject Case :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3Da42236 Decided on November 18, 2016

                                  

  • 저자명

    강윤희(Kang, Younhee)                                         

  • 학술지명

    저스티스                           

  • 권호사항

    Vol.160 No.- [2017]                                                         

  • 발행처

    한국법학원(韓國法學院)                                   

  • 발행처 URL

    http://www.legalcenter.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29-260(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공공건설임대주택의 임대인이 임대주택법에 규정한 절차를 준수하지 아니하고 일방적으로 임대주택의 임대보증금과 임료를 상호전환하는 것은 강행법규에 위반되어 무효이다. 그러나 임...
  • 공공건설임대주택의 임대인이 임대주택법에 규정한 절차를 준수하지 아니하고 일방적으로 임대주택의 임대보증금과 임료를 상호전환하는 것은 강행법규에 위반되어 무효이다. 그러나 임대차계약 전체를 무효로 하면 임차인은 임대주택을 임대인에게 반환하여야 하여 임차인 보호에 반하므로, 계약을 유효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강행법규와 그 입법취지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는 당사자의 의사자치의 원칙은 존중되어야 하고, 유지되는 계약이 일방 당사자에게 일방적인 불이익을 주거나 거래관념과 형평에 반하는 것이어서는 아니된다.
    종래 계약의 일부에 무효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사안이 민법 제137조의 법률요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도 대법원은 민법 제137조를 적용하여 일부 유효를 인정하였다. 그러나 민법 제137조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라면 굳이 법적 근거를 민법 제137조에서 찾을 필요는 없다. 법체계 정합성, 사적차지, 강행법규의 입법취지 등을 고려하면, 계약내용 중 일부가 강행법규에 위반되는 경우 민법 제138조의 무효행위의 전환을 통하여 무효를 알았다면 체결하였다고 예상되고 강행법규를 위반하지 않은 계약이 체결되었다고 의제하는 것이 타당하다.
    임대보증금과 임료는 임차인의 급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경제적 사실적으로 일체불가분의 결합관계에 있다. 따라서 공공건설임대주택의 임대차계약의 전환임대보증금이 강행법규에 위반되어 무효라면 그와 불가분적으로 결합된 임료의 증액 역시 당사자가 감내하리라 의욕하였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렇게 해석하여도 임차인에게 크게 불리하지 않으므로, 무효행위 전환의 법리에 따라 상호전환 전의 임료 및 임대보증금에 의한 계약 체결이 의제된다.
    다만, 입법론적으로는 유럽 민사법의 공통 기준안(DCFR)을 참고하여, 우리 민법에도 강행규정 위반에 관한 일반적인 조항을 두고 그 조항에서 법원의 계약 수정권한까지 규정하되, 그 판단기준으로 계약의 목적 등도 아울러 고려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논문요지

    Ⅰ. 사안의 개요

    Ⅱ. 문제의 제기

    Ⅲ. 일부무효의 요건 및 이 사건의 적용 여부

  • Ⅳ. 다양한 대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6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법제 현황과 개정방향 / 이창범 2016  216
145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07
144 1 윤리학 개인정보 영향평가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 EU 개인정보보호규정과 개인정보보호법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황지은 2016  152
143 1 윤리학 EU 개인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시사점 / 류승균 2016  208
142 1 윤리학 유럽연합(EU) 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과 최근 발전 / 문재완 2016  267
141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1
140 1 윤리학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 석승혜 2016  242
139 1 윤리학 [법률상식] 사이버권리 침해 분쟁사례와 대응방법 / 김민주 2017  105
»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137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136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135 1 윤리학 독일의 성년후견인 제도와 자기결정권 / 조성혜 2016  297
134 1 윤리학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윤수정 2016  217
133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132 1 윤리학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신유리, 김정석 2015  206
131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2017  575
130 1 윤리학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 공병혜 2017  179
129 1 윤리학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김동창 2017  253
128 1 윤리학 제도적 위험과 규범적 자율성 / 신동일 2017  79
127 1 윤리학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양선진 2016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