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亞細亞硏究(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75315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groups and cultural dispositions on the morality - Fairness, Purity, and Care -

                   

  • 저자명

    석승혜(Seok, Seung Hye), 장안식(Chang, Ansik)                                            

  • 학술지명

    亞細亞硏究(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 권호사항

    Vol.59 No.3 [2016]                                                           

  • 발행처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 발행처 URL

    http://www.asiaticresearch.org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51(4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최근 한국사회는 생존경쟁이 격화되고 모든 선택에서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는 개인화가 사회집단의 전 영역에 확장됨에 따라 사회적 유대는 무너지고 도덕성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
  • 최근 한국사회는 생존경쟁이 격화되고 모든 선택에서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는 개인화가 사회집단의 전 영역에 확장됨에 따라 사회적 유대는 무너지고 도덕성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 직업집단, 종교, 시민단체, 계층과 같은 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문화성향의 매개효과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한국사회에서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옳고 그름의 기준으로 삼는 도덕성 요소는 공정성(fairness), 순수성(purity), 배려(car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집단 소속이 각각의 도덕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집단 소속은 공정성과 배려에 부정적 영향을, 순수성에 대해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집단 소속 정도가 높을수록 부정한 행위를 용인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는 낮아지는 동시에 순수성을 중시함으로써 자살, 동성애, 안락사 등의 문제에 대해 폐쇄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문화성향의 효과를 고려해 봤을 때, 사회집단에의 소속은 전통적 가치관이라고 여겨졌던 집단주의뿐만 아니라 개인주의 역시 강화하는 복합화 경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직업집단이나 시민단체에의 참여는 개인의 동등성과 자율에 대한 가치를 존중하는 수평주의 문화성향을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집단 소속에 따른 문화성향의 변화 양상은 주로 배려에 대한 인식의 약화와 순수성에의 강조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살핌과 복지에 대해서는 인색하고 동성애, 안락사, 혼전성관계 등에 대해서는 오염의 대상으로 부정하고자 하는 성향을 강화함으로써 사회적 균열의 단초로 작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 제기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론
  • Ⅳ. 분석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6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국외이전 법제 현황과 개정방향 / 이창범 2016  216
145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07
144 1 윤리학 개인정보 영향평가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 EU 개인정보보호규정과 개인정보보호법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황지은 2016  152
143 1 윤리학 EU 개인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시사점 / 류승균 2016  208
142 1 윤리학 유럽연합(EU) 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과 최근 발전 / 문재완 2016  267
141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1
» 1 윤리학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 석승혜 2016  242
139 1 윤리학 [법률상식] 사이버권리 침해 분쟁사례와 대응방법 / 김민주 2017  105
138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137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136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135 1 윤리학 독일의 성년후견인 제도와 자기결정권 / 조성혜 2016  297
134 1 윤리학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윤수정 2016  217
133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132 1 윤리학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신유리, 김정석 2015  206
131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2017  575
130 1 윤리학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 공병혜 2017  179
129 1 윤리학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김동창 2017  253
128 1 윤리학 제도적 위험과 규범적 자율성 / 신동일 2017  79
127 1 윤리학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양선진 2016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