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22313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The Enactment of 2016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in the EU and its Implications

                                


  • 저자명

    함인선(Ham, In-Seon)                                               

  • 학술지명

    법학논총                           

  • 권호사항

    Vol.36 No.3 [2016]                                                            

  • 발행처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11-453(4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2016년 5월에 EU 일반정보보호규칙(이하 ‘2016년 규칙’이라 한다.)이 제정되었다. 동규칙은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에서 일반법적 지위를 누리던 1995년 정보보호지침을 대체하는 것으로서, 2012...
  • 2016년 5월에 EU 일반정보보호규칙(이하 ‘2016년 규칙’이라 한다.)이 제정되었다. 동규칙은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에서 일반법적 지위를 누리던 1995년 정보보호지침을 대체하는 것으로서, 2012년 1월에 EU의 집행기관인 유럽위원회가 일반정보보호규칙(안)을 EU의 입법기관인 유럽의회와 이사회에 제출한 이래 4년여만에 성립된 것이다. 이러한 2016년 규칙의 제정배경으로는 1995년 지침이 그 목적과 원칙에 관한 한 여전히 유효하지만, 그 법형식이 ‘지침’이라는 점 때문에 동 지침이 가이드라인적인 역할을 한다고 하더라도 각 회원국별로 구체적인 개인정보보호법제도가 다르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에서의 EU 전체의 집행이라는 점에서는 단편화와 법적 불확실성이 존재하게 되었다는 점이 들어진다. 그로 인하여, 보다 강력하고 통일적인 EU개인정보보호제도를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의하여 EU역내시장에서 디지털경제가 발전할 수 있게 되고, 개인들은 자기의 개인정보를 통제할 수 있으며, 사업자들과 공적 기관들에게는 법적 · 실무적 확실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EU의 2016년 규칙을 대상으로 하여, 그 제정경위를 살펴본 후(Ⅱ), 그 주요내용으로서 입법목적, 정보주체의 동의와 권리, 정보보호영향평가와 사전협의, 행동강령과 인증, 개인정보의 제3국이나 국제조직으로의 이전, 독립적 감독기관과 유럽정보보호위원회, 권리구제, 책임 및 벌칙, 특별한 정보처리상황과의 관련, 최종규정을 살펴보고(Ⅲ), 개인정보의 제3국으로의 이전과 관련한 EU사법재판소의 판례인 Maximillian Schrems Case를 고찰한 것(Ⅳ)을 토대로 하여, 우리에게 던져주는 시사점(Ⅴ)을 제시하였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처음에
  • Ⅱ. 2016년 GDPR의 제정경위
  • Ⅲ. 2016년 GDPR의 주요내용
  • Ⅳ. 개인정보 국외이전 관련판례의 검토 - Maximillian Schrems Case
  • Ⅴ. 시사점
  • 참고문헌
  • 초록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1
125 1 윤리학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 석승혜 2016  242
124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123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122 1 윤리학 독일의 성년후견인 제도와 자기결정권 / 조성혜 2016  297
121 1 윤리학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윤수정 2016  217
120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119 1 윤리학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양선진 2016  202
118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박웅신 2016  190
117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고찰 / 한명수 2016  131
116 1 윤리학 수술 로봇의 윤리적 쟁점 / 송선영 외 2016  871
115 1 윤리학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안민영 2016  1326
114 1 윤리학 한국 여성의 혼전임신에 관한 연구 / 김송희 2016  648
113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112 1 윤리학 생명윤리 성찰을 위한 인간 몸의 인간학적 의미 고찰 / 정재우 2015  214
111 1 윤리학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 노현기 2015  250
110 1 윤리학 일본 생명윤리법제의 현황 : 가톨릭적 관점에서 / 정종휴 2015  152
109 1 윤리학 미국법의 현대적 과제 ;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 김민우, 류화신 2015  432
108 1 윤리학 법률전문가로서 변호과오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김남길 2015  740
107 1 윤리학 수형자의 치료받을 권리에 대한 법적·의료적 현황과 문제점 / 이석배 2015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