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公法硏究(Public La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748545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s a Prophylactic Measure Guarding Privacy - the Resulting Constitutional Limits on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Act

                                    

  • 저자명

    박경신(Kyung-Sin Park)                                                           

  • 학술지명

    公法硏究(Public Law)                             

  • 권호사항

    Vol.40 No.1 [2011]                                                        

  • 발행처

    한국공법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pl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9-162(34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 KDC

    360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16                                                                                                                           

  • 초록 (Abstract)
    • 개인정보보호법은 모든 개인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하고 개인정보의 유통을 규제함으로써 타인에 대해 말할 권리를 제약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보호법은 모든 개인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하고 개인정보의 유통을 규제함으로써 타인에 대해 말할 권리를 제약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에 심대한 영향을 준 EU디렉티브와 OECD가이드라인을 자세히 검토해보면 세계적으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그 핵심적인 보호법익으로 두고 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개인정보의 대규모집적 및 유통을 통해 프라이버시권 침해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과잉'보호하기 위한 절차적 규범(prophylactic) 또는 적극적 규범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프라이버시권의 연혁을 워렌-브렌다이스 논문부터 프롯서 그리고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연혁을 검토해보면 나라마다 '사적인 정보'의 범위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프라이버시권은 '자신에 대한 사적인 정보의 공개 및 취득'의 통제를 핵심내용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범위도 '사적인 정보' 또는 '프라이버시권 침해의 가능성있는 정보'들로 한정함으로써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의 특별법인 위치정보보호법은 물건의 소유자를 식별해내지 않는 방법으로 그 물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행위까지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정 또는 축소해석의 필요가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개인정보'의 정의와 개인정보보호권
  • Ⅲ. 프라이버시권의 의미와 개인정보보호권의 발전
  • Ⅳ.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 평가에의 적용 - 위치정보보호법을 포함하여
  • Ⅴ.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6 1 윤리학 긍정심리학과 덕윤리 / 이진남 2016  207
165 1 윤리학 자기결정권 법리의 체계화를 위한 형법학의 과제 / 이얼 2013  99
164 1 윤리학 새로운 인터넷 기반 방송서비스 사업자의 등장과 저작권 침해 문제 - 미국의 에어리오 판결을 중심으로 / 정미경 2015  88
163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소고(小考) -대한민국 법제에서의 의의와 한계 / 임준형 2015  79
162 1 윤리학 개인정보의 정의와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개인정보"에 관한 헌법적 및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김민성 2015  459
161 1 윤리학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의 의미와 의료법상 원격의료 부분의 개정방향 -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0도1388 판결을 중심으로 / 전진하 2015  533
160 1 윤리학 환자에 대한 임의비급여 진료비용 청구의 예외적 허용 / 박현민 2016  99
159 1 윤리학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1  121
158 1 윤리학 빅 데이터 시대의 도래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의 한계와 개선방향 / 김승한 2013  161
157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2009  49
156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 권혁빈 2014  136
155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제점과 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이인곤 2014  322
154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153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상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그리고 비식별화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의 평가 및 입법론적 논의 / 김후신 2015  578
152 1 윤리학 2015년 일본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 개정된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김은수 2016  638
151 1 윤리학 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 최경진 2009  173
» 1 윤리학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박경신 2011  385
149 1 윤리학 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 박훤일 2016  139
148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보윤리적 의미와 쟁점 / 임상수 2016  268
147 1 윤리학 유럽연합과 미국의 잊힐 권리에 관한 입법 소고 / 김훈범 2016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