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公法硏究(Public La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748545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s a Prophylactic Measure Guarding Privacy - the Resulting Constitutional Limits on Kore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Act

                                    

  • 저자명

    박경신(Kyung-Sin Park)                                                           

  • 학술지명

    公法硏究(Public Law)                             

  • 권호사항

    Vol.40 No.1 [2011]                                                        

  • 발행처

    한국공법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pl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9-162(34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 KDC

    360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16                                                                                                                           

  • 초록 (Abstract)
    • 개인정보보호법은 모든 개인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하고 개인정보의 유통을 규제함으로써 타인에 대해 말할 권리를 제약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보호법은 모든 개인에 관한 정보를 '개인정보'로 정하고 개인정보의 유통을 규제함으로써 타인에 대해 말할 권리를 제약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에 심대한 영향을 준 EU디렉티브와 OECD가이드라인을 자세히 검토해보면 세계적으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그 핵심적인 보호법익으로 두고 있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개인정보의 대규모집적 및 유통을 통해 프라이버시권 침해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개인정보보호규범은 프라이버시권을 '과잉'보호하기 위한 절차적 규범(prophylactic) 또는 적극적 규범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프라이버시권의 연혁을 워렌-브렌다이스 논문부터 프롯서 그리고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연혁을 검토해보면 나라마다 '사적인 정보'의 범위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프라이버시권은 '자신에 대한 사적인 정보의 공개 및 취득'의 통제를 핵심내용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범위도 '사적인 정보' 또는 '프라이버시권 침해의 가능성있는 정보'들로 한정함으로써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의 특별법인 위치정보보호법은 물건의 소유자를 식별해내지 않는 방법으로 그 물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행위까지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정 또는 축소해석의 필요가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개인정보'의 정의와 개인정보보호권
  • Ⅲ. 프라이버시권의 의미와 개인정보보호권의 발전
  • Ⅳ.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 평가에의 적용 - 위치정보보호법을 포함하여
  • Ⅴ.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6 1 윤리학 여성 보건의료인 대상 성희롱 실태 / 김규연 2018  116
245 1 윤리학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서치원 2018  116
244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7
243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242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7
241 1 윤리학 인공지능 및 사이버휴먼 시대의 윤리적 논쟁과 규범윤리의 요청 / 김광연 2018  117
240 1 윤리학 저작권침해소송에서 저작물성 여부에 관한 중간판결(中間判決)의 의미와 실효적 운용방안 /차상육 2018  118
239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19
238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이 중국의 입법에 주는 시사점 / 나혜란 2018  119
237 1 윤리학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1  121
236 1 윤리학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 함인선 2016  121
235 1 윤리학 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을 중심으로 / 엄도영 외 2018  123
234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4
233 1 윤리학 인간존엄의 기본권성에 관한 고찰 / 장영철 2018  124
232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2018  127
231 1 윤리학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박장호 2019  127
230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229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고찰 / 한명수 2016  130
228 1 윤리학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서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김영례 2018  130
227 1 윤리학 자유주의 시민성과 도덕과 인성교육의 과제 / 조주현 2019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