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Yonsei Journal of Mediccal and Science Technology La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726702 
연구논문 : 새로운 인터넷 기반 방송서비스 사업자의 등장과 저작권 침해 문제 - 미국의 에어리오 판결을 중심으로-
= Articles : The new Internet based media emergence and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Review on the case Aereo-

                        

  • 저자명

    정미경 ( Mikyung Jung )                                                

  • 학술지명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Yonsei Journal of Mediccal and Science Technology Law)                           

  • 권호사항

    Vol.6 No.1 [2015]                                                           

  • 발행처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1-147(3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초록 (Abstract)
    •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인간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든다. 하지만 동시에 기존 저작권자들의 이익이 보장되던 법체계에 혼란을 가져온다. 초창기 출판에...
  •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인간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든다. 하지만 동시에 기존 저작권자들의 이익이 보장되던 법체계에 혼란을 가져온다. 초창기 출판에서 라디오, 방송관련 미디어에서 현재는 인터넷의 발전으로 기존과 전혀 다른 형태의 미디어가 출현하며 합법과 적법의 경계를 위태로이 넘나들고 있다. 본고에서 검토할 에어리오 판결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에어리오는 2012 년 미국에서 제공되기 시작한 서비스로, 개개인이 안테나를 통해 지상파 TV 를 합법적으로 시청할 권리가 있음을 근거로 한다. 에어리 오는 그러한 개인의 안테나를 한 곳에 모아 관리해 주며 서비스 이용자의 요청 시 방송을 송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였는데, 이 과정에서지상파 방송사의 주요 수익원이 되는 재전송료를 지불하지 않아 지상파 방송사로부터 저작권 침해의 소가 제기된 사건이다. 이러한 새로운 매체의 등장에 따른 기존 미국 판례의 대응을 우선 검토하고, 에어리오의 손을 들어주던 1,2심을 번복하고, 결국 저작권침해 주장을 받아들인 연방대법원의 판결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대상 판결은 신기술 및 이를 둘러싼 환경과 관련한 치밀한 법리적 검토를 통하여 이루어졌다기보다는 미국 방송시장에서 에어리오가 끼칠 파급력을 고려해 기존 저작권자의 수익을 보호하려는 목적 하에 보수적으로 내려진 갓으로 보인다 미 저작권법은 새로운 매체의 발전에 대응하는 다양한 법리를 발전시켜왔다 1심 판결에서 원용된 cablevision 판결 역시 그러한 매체의 발전상과 그를 이용하는 대중의 행태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전화적으로 이루어진 갓이다. 미국 저작권법이 널리 인정하는 간접침해의 법리를 인정하지 않았다는 소수의견의 지적은 매우 타당하다. 저작권자에 대한 보호는 필요하지만, 과도한 보호로 인해 날로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쫓아가지 못하는 법률은 사회 현실과 법적용간의 괴리를 불러일으키고, 산업의 발전을 저해한 갓이다 저작권법의 재개정 및 새로운 사업자의 등장에 보다 유연한 태도로 접근할 것이 요구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26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5
125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론의 현재적 의미 재구성과 인성교육/ 김민수 2019  185
124 1 윤리학 기본권으로서의 변호인의 변호권 / 윤혜원, 최효재 2019  185
123 1 윤리학 의료법 분야에서 최근 판례의 동향과 전망 / 김기영 2017  184
122 1 윤리학 도덕적 목적이론으로서 칸트의 덕론 / 노영란 2019  184
121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AMA) 윤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논리 연구 Ⅰ/최현철 외 2017  183
120 1 윤리학 유전정보 차별금지의 법적문제 - 외국의 규율 동향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 양지현 외 2017  182
119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118 1 윤리학 한국 의료의 국제화와 윤리적 문제 / 임주원 외 2017  181
117 1 윤리학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 공병혜 2017  179
116 1 윤리학 내시경 시술과 관련된 의료법학적 문제 : 관련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배현아 2011  177
115 1 윤리학 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 최경진 2009  173
114 1 윤리학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 박종성 2016  170
113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112 1 윤리학 사이버 페미니즘(다나 헤러웨이)과 에코 페미니즘(김선희)의 비교 분석 / 김영숙 2018  169
111 1 윤리학 이민 정책에서의 인권에 관한 연구: 이민 제한과 DACA를 중심으로 / 이현주 2018  165
110 1 윤리학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 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을 통한 몸의 환원주의적 시각 비판 / 이은영 2014  164
109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주체로서 사이보그의 정체성 찾기 - 루퍼트 샌더스의 <고스트 인 더 쉘>(2017) 중심으로 / 이재은 2018  164
108 1 윤리학 나고야의정서의 국내 이행 필요사항 분석/박원석 2013  162
107 1 윤리학 빅 데이터 시대의 도래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의 한계와 개선방향 / 김승한 2013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