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96039 
논문 :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 The Possibility of a Liberal Communitarianism-About the Political Philosophy of Michael J. Sandel-


http://www.riss.kr/link?id=A100096039 


  • 저자명

    양천수 ( Chun Soo Yang )                                                                                  

  • 학술지명

    법철학연구(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 권호사항

    Vol.17 No.2 [2014]                                                        

  • 발행처

    한국법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05-242(3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초록 (Abstract)

  • 미국의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Michael J. Sandel)은 흔히 자유주의에 대항하는 공동체주의의 대표자 가운데 한 명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샌델 자신은 여러 저작에서 전통적인 공동체주의자가 ...
  • 미국의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Michael J. Sandel)은 흔히 자유주의에 대항하는 공동체주의의 대표자 가운데 한 명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샌델 자신은 여러 저작에서 전통적인 공동체주의자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오히려 자신은 자유주의자에 더 가깝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샌델의 정치철학은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라고 규정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그러면 어떤 점에서 샌델의 정치철학은 한편으로는 공동체주의적인 철학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공동체주의와는 구별되는 자유주의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가? 이 글은 바로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 의문을 해명하기 위해 이 글은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전개한다. 먼저 국내에서 밀리언셀러가 되었던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및 샌델이 지금까지 출간한 저작을 바탕으로 하여 샌델의 정치철학을 개관한다(2). 이어서 어떤 점에서 샌델의 정치철학을 공동체주의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는지 살펴 본다(3). 여기서는 특히 샌델이 박사학위논문에서 강조한 ‘옳음에 대한 좋음의 우선성’과 롤스의 무연고적 자아에 대한 비판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다음으로 어떤 점에서 샌델의 정치철학을 자유주의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4). 여기서는 샌델이 집단적 다수주의를 거부한다는 점 그리고 시민의 적극적 참여와 토론을 강조한다는 점이 부각된다. 마지막으로 샌델의 정치철학이 어떤 의미와 한계를 지니는지 보여준다(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26 1 윤리학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윤리 규범의 관점에서 / 김준성 2017  186
125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론의 현재적 의미 재구성과 인성교육/ 김민수 2019  186
124 1 윤리학 기본권으로서의 변호인의 변호권 / 윤혜원, 최효재 2019  186
123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122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AMA) 윤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논리 연구 Ⅰ/최현철 외 2017  185
121 1 윤리학 의료법 분야에서 최근 판례의 동향과 전망 / 김기영 2017  184
120 1 윤리학 도덕적 목적이론으로서 칸트의 덕론 / 노영란 2019  184
119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118 1 윤리학 한국 의료의 국제화와 윤리적 문제 / 임주원 외 2017  181
117 1 윤리학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 공병혜 2017  179
116 1 윤리학 내시경 시술과 관련된 의료법학적 문제 : 관련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배현아 2011  177
115 1 윤리학 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 최경진 2009  174
114 1 윤리학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 박종성 2016  170
113 1 윤리학 이민 정책에서의 인권에 관한 연구: 이민 제한과 DACA를 중심으로 / 이현주 2018  170
112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111 1 윤리학 사이버 페미니즘(다나 헤러웨이)과 에코 페미니즘(김선희)의 비교 분석 / 김영숙 2018  169
110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주체로서 사이보그의 정체성 찾기 - 루퍼트 샌더스의 <고스트 인 더 쉘>(2017) 중심으로 / 이재은 2018  165
109 1 윤리학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 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을 통한 몸의 환원주의적 시각 비판 / 이은영 2014  164
108 1 윤리학 나고야의정서의 국내 이행 필요사항 분석/박원석 2013  162
107 1 윤리학 빅 데이터 시대의 도래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의 한계와 개선방향 / 김승한 2013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