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6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원종욱

1 윤리학 조회 수 248 추천 수 0 2016.09.23 13:26:2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54187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Duty of Protection


 
제어번호 101754187
저자명 원종욱(Won, Jong-Wook)
학술지명 法學論叢(Soong Sil Law Review)
권호사항 Vol.35 No.- [2016] 
발행처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Soong Sil University)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1(25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보호의무(안전배려의무)는 계약당사자의 일방이 상대방의 생명 · 신체 · 소유권 및 기타 재산적 이익을 침해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할 주의의무를 말한다. 이러한 보호의무를 채무의 하나로 인정할 것인가는 피해자 보호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 즉 보호의무를 채무로 보아 그 위반을 채무불이행책임으로 구성하면, 불법행위책임으로 구성할 경우보다 입증책임과 소멸시효기간에서 보다 유리하게 된다. 현재의 다수설은 보호의무를 채무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판례도 1994년 숙박업자의 투숙객 보호의무 위반을 인정하고 계약책임으로 구성한 이래, 채무불이행책임으로 보는 것이 지배적인 경향이다.
독일은 독일민법전 제618조에 안전배려의무를 명문화하고 이를 위반 시에는 채무불이행책임으로 묻고 있다. 프랑스는 1911년 파기원의 판례를 통해 운송계약에서 안전배려의무를 인정한 이래 의료계약 등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고, 일본은 1975년 최고재판소가 안전배려의무를 인정한 이후 채무불이행책임으로 구성하는 것이 주류적인 경향이고, 도급계약과 공무원의 고용관계에도 적용하고 있다.
한편, 우리는 법무부가 2004년도와 2011년도에 민법의 고용계약 규정에 “사용자의 안전배려의무”를 신설하는 개정시안을 마련하였지만 입법화되지는 못했다. 이와 같이 외국과 우리는 피해자를 보다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보호의무를 명문화 하였거나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에 보호의무에 대한 외국의 입법례와 우리의 현황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보호의무의 입법화 필요성을 논구하자고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보호의무에 관한 입법례
Ⅲ. 보호의무의 내용과 효과
Ⅳ. 결어



주제어
보호의무  ,안전배려의무  ,신의칙  ,불법행위책임  ,채무불이행책임  ,duty of protection  ,duty of safety consideration  ,illegal act responsibility  ,non-performance of liabil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 윤리학 불교에서 보는 생명의 탄생과 죽음의 문제/ 하유진

발행년 2009 

  • 조회 수 258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발행년 2018 

  • 조회 수 258

1 윤리학 과학기술에 관한 윤리적 규범 모색을 위한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관점에서의 융합적 연구 / 이창호

발행년 2018 

  • 조회 수 255

1 윤리학 과 비판적 사고 / 김세화

발행년 2005 

  • 조회 수 254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254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지용수

발행년 2016 

  • 조회 수 253

1 윤리학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김동창

발행년 2017 

  • 조회 수 253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발행년 2017 

  • 조회 수 253

1 윤리학 개인의료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연구 / 박인경

발행년 2007 

  • 조회 수 252

1 윤리학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 권양섭

발행년 2016 

  • 조회 수 251

1 윤리학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 노현기

발행년 2015 

  • 조회 수 250

1 윤리학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원종욱

발행년 2016 

  • 조회 수 248

1 윤리학 데이터 소유권 개념을 통한 정보보호 법제의 재구성 / 박상철

발행년 2018 

  • 조회 수 247

1 윤리학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에 기초한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교육 / 전대석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246

1 윤리학 인(人) 이외의 존재에 대한 법인격 인정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 이경규

발행년 2018 

  • 조회 수 243

1 윤리학 덕윤리 중심의 중학교 도덕교육제안 / 김승현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2

1 윤리학 사회집단에의 소속이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 석승혜

발행년 2016 

  • 조회 수 242

1 윤리학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이문재

발행년 2018 

  • 조회 수 238

1 윤리학 연구논문 : 약관의 설명의무의 대상 및 면제범위에 관한 판례의 입장에 대한 소고 / 김원규

발행년 2016 

  • 조회 수 236

1 윤리학 황우석 사태 前後 일간지의 건강의료보도 태도 변화 연구 :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 서한기

발행년 2007 

  • 조회 수 235